최근 분양시장에서 지역주택조합사업장이 늘어나는 가운데 도급순위 30위 서희건설(대표이사 곽선기)과 196위 한양건설(대표이사 오홍석)이 지역조합사업 수주전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어 눈길을 끈다.
그 동안 지역조합주택사업은 초기 토지확보 비율에 따라 사업성이 판가름 나는 만큼 대형건설사들에겐 관심 밖의 사업형태였다. 그러다보니 이같은 틈새시장에 도급순위 중하위권 중견건설업체가 잇따라 뛰어드는 모습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대형사들도 안정적으로 토지확보가 된 지역에 예비시공사로 이름을 올리기 시작했다.
8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현재 올해 조합원을 모집하는 지역주택조합사업장은 49곳으로 총 4만8835가구로 추산된다.
서희건설이 현재 진행 중인 지역주택조합은 총 17곳, 1만5205가구다. 이미 1곳의 지역주택조합사업의 완공을 마친 서희건설은 지난 3월 지역주택조합 사업을 확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양건설은 22곳의 사업장에서 1만4496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한양건설은 최근 일부 지역주택조합 시공사 선정에서 사업비를 서희건설보다 낮게 제시해 시공권을 따내기도 했다.
게다가 작년 말 주택법 개정으로 조합설립요건이나 조합원 자격등이 완화되자 주택건설 틈새 시장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지역주택조합사업에 대기업도 조금씩 진출하기 시작했다. 포스코건설은 2곳의 사업장에서 2963가구를, 대림산업 1곳 2708가구, 롯데건설 2곳 7700가구, 한화건설 1곳 416가구, 현대엔지니어링 2곳 2455가구 등 총 10곳에서 대형사들이 시공예정사로 선정됐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분양가상한제 폐지로 분양 가격이 치솟으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지역조합아파트가 인기를 끌고 있다”며 “중견사인 한양건설과 서희건설이 가장 활발히 공급하는 가운데, 지난해 9.1부동산 대책으로 대규모 공공택지 개발 중단이 되자 요즘은 대형사들도 지역주택조합이라는 틈새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지역주택조합 활황 배경에는 지난해 개정된 주택법이 있다. 6개월 이상 일정지역에 거주한 무주택자면서 전용면적 85m²이하 1주택 소유자도 조합원 가입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4월 주택홍보관을 열었던 송도국제신도시 지역주택조합아파트인 송도 포레스트 카운티는 조합원 모집 한달만에 총 2708가구 중 저층부 10여가구만 남긴채 마감됐다. 지난 6월 말 주택홍보관을 열며 조합원 모집을 시작한 청주 흥덕 한양수자인은 일주일 만에 전용 74㎡, 전용 84㎡ 조합원 물량이 모두 계약됐고, 현재 전용 59㎡ 일부 가구만이 남아있는 상태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지역주택아파트는 일반아파트와는 달리 시행사 이윤, 토지 금융비용 등 각종 부대비용을 절감해 일반아파트보다 분양가가 10~15% 가량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청약통장 없이도 내집마련이 가능한데다 즉시전매까지 가능하다는 장점이 부각돼 최근 조합원을 신청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점점 수요가 몰리는 지역주택조합은 저렴한 가격, 조합원 자격 완화 등의 장점이지만, 이보다는 주의해야할 사항이 훨씬 많다.
우선 사업 진행과정에서 생기는 각종 문제와 위험을 조합원 개개인이 떠안아야 한다. 토지를 제대로 확보하지 못해 사업 승인이 취소되거나 사업 기간이 기약없이 길어질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추가분담금도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지난 5월 주택홍보관을 오픈한지 일주일만에 조합원 물량 106가구가 모두 마감했다던 한 사당동 힐스테이트(사당3동 지역주택조합(가칭))는 최근 토지 확보가 제대로 되지 않아 조합설립인가가 반려된 상태다. 그런 상태임에도 아직 조합원을 모집중인 것으로
강태욱 하나은행 부동산팀장은 “지역주택조합아파트는 저렴하다는 장점만큼 주의해야할 사항이 많다”며 “사업부지확보가 95% 이상인지, 공신력있는 신탁사가 자금을 관리하는지, 사업진행여부가 투명한지, 믿을 수 있는 시공사인지 등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매경닷컴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