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열’ 6월 28일 개봉 사진=옥영화 기자 |
13일 오후 서울 중구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진행된 영화 ‘박열’ 언론시사회에는 배우 이제훈, 최희서 등이 참석했다.
‘박열’은 1923년 도쿄, 6천 명의 조선인 학살을 은폐하려는 일제에 정면으로 맞선 조선 최고 불량 청년 박열(이제훈 분)과 그의 동지이자 연인 후미코(최희서 분)의 믿기 힘든 실화를 그렸다.
‘사도’, ‘동주’ 등 다수의 시대극을 통해 역사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으로 관객을 사로잡았던 이준익 감독이 20년의 기다림 끝에 연출한 작품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박열’은 ‘동주’에 이어 저예산 제작비로 진행됐다. 이준익 감독은 “저예산으로 영화를 찍는 게 내 목표였다”며 “제작비를 많이 들여서 찍을 수도 있었지만, ‘동주’도 마찬가지로 실존인물을 최대한 고증을 거쳐서 찍기 위해서는 그 실존 인물의 진심을 전달하는데 화려한 볼거리, 과도한 제작비는 방해된다고 생각했다. 최소의 조건으로 찍어야만 그때 그들이 가졌던 진정성을 깊숙이 파고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일본 제국을 뒤흔든 조선 최고의 불량 청년 박열 역은 이제훈이 맡았다. 그는 촬영에 앞서 실존인물 박열을 표현하기에 두려움이 앞섰다고 털어놨다.
“이준익 감독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기뻤다. 하지만 두려움도 있었다. 내 그릇 안에서 연기하기 어려웠고, 일본어 대사도 많았기에 해낼 수 있을까하는 걱정이 앞섰다. ‘박열’을 통해 단순하게 연기력을 선보인다. 광기를 표출하려 하기 보다는 영화의 가치에 대해 생각했다. 영화를 통해 뭘 보여줄 것인가. 그 시대에 박열이 뭘 보여주려 했나라는 생각에 부족하지도 넘치지도 않게 잡는 게 목표였다. 박열이 전하려고 하는 메시지가 온전히 전달되는데 집중했다.”
이제훈은 “부끄럽지만 처음에는 박열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다. 시나리오를 읽고 인물을 탐구하는데, 현재 내가 살고 있는 삶과 박열이 가지고 있는 그때 당시 느꼈던 상황이 인간과 인간사이의 자유와 평등이 있어야지 삶을 살아가는 이유의 기본이 된다고 생각했다. 박열은 그 상황과 시대를 경험해 나가면서 울분과 아픔이 있을텐데 단순히 개인적인 욕망의 해소로 끝나지 않고 조선인에게 희망이 되고픈 사람으로 전달되지 않았나. 나 역시 연기하면서 관객들에게 이 부분이 전달되길 바랐다. 이 작품을 보면서 우리는 어떻게 살아왔고, 우리가 이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어떻게 존재하고 있는가를 몰랐던 인물을 통해 돌아보고 그런 인물들이 있기에 살아가는데 있어서 자존감을 갖고 살아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고 말했다.
박열의 신념의 동지이자 연인 가네코 후미코 역에는 최희서가 연기했다. 가네코 후미코는 일본인 이지만 일본 제국주의와 천황제를 반대하며 항일운동을 하는 여성이다.
최희서는 “가네코 후미코는 일곱살때 조선 충북에서 식모살이를 하며 지낸다. 거기서 처음으로 일본인에게 학대받는 조선인을 보고, 본인도 할머니한테 학대받으면서 피지배층의 설임, 조선인을 향한 동정, 그때부터 일본 제국주의에 관해서 왕을 신성시 여기라는 강요받는 사회에 대해 반항심을 갖게 됐다고 생각했다”고 캐릭터를 설명했다.
이제훈은 최희서와의 호흡에 대해 “10년 전에 독립영화에서 처음 봤다. 당시 연기를 너무 잘하고, 이런 보석 같은 배우가 있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이번에 영화를 같이한다고 들었을 때 정말 완벽하게 잘 만들어지겠구나 하는 기대감이 있었다. 최희서 말고 누가 가네코 후미코를 할 수 있을까. 이 사람 밖에 떠오르지 않을거라는 확신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준익 감독은 “일제강점기는 여전히 정리하지 못하고 있는 역사다. 그리고 일제감정기를 그릴 때는 엄숙하게 그려야 한다는 강박관념도 있다. 그러나 박열이라는 인물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에서
김솔지 기자 solji@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