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막구균성 수막염이란 무엇일까.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is)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감염병으로 겨울과 봄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소아성 질환으로 영유아기에 주로 발생하는데, 영유아에서 발생이 감소하면서 청소년과 청년들에게서 발생하는 양상이다. 특히 새로 모여 밀집한 상태에서 사는 집단인 병사나 캠프에서 더 빈번히 발생하고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한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은 감염된 사람과 직접 접촉 및 코, 목구멍의 호흡기 분비물에 의한 비말 감염에 의해 전파된다. 감염되면 대부분 단순 불현성 감염이나 5-10%는 비인두에 균을 보균하는 불현성 보균자로 다른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잠복기간은 2~10일이며, 보통 3~4일간이다.
무증상으로부터 전격형까지 매우 다양하며, 극히 일부에서 증상이 발생해 패혈증, 수막염, 폐렴 등을 일으킨다. 발열, 심한 두통, 구토 및 경부 경직이 생기며, 핑크색의 점상반이 나타난다. 섬망이나 혼수가 종종 나타나고 전격형에서는 갑자기 허탈에 빠지며, 반상 출혈과 쇼크를 일으키기도 한다.
과거에는 치사율이 50%로 높았으나 최근 조기 진단과 치료로 10% 정도다. 수액이나 혈액으로부터 수막구균을 분리 및 배양 하거나 항원 검출에 의해 진단할 수 있으며 제3군 법정감염병이므로 환자가 확진이 되거나 의심이 되면 반드시 보건소에 신고해야 한다.
생존자 중 5명 중 1명이 사지절단, 청각장애, 뇌손상 등 중증 영구 장애를 안고 살아가게 된다. 또한 이 질환이 영유아기에 발병하면 제 때 치료하더라도 성장판에 영향을 줘 성장기 학습장애나 성장불균형 등의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사전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감염자와 직접 접촉 및 호흡기 분비물로부터 생긴 비말과 접촉을 피해야하며 호흡기 분비물과의 격리는 항생제 투여 후 24시간이 지나면 해제해도 좋다.
조기 진단해 의심되는 경우는 즉시 항생제를 투여하며, 소아의 경우 접촉자 모두를 예방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치료는 설파제(sulfa drugs) 또는 페니실린을 투여하며, 설파제에 내성을 갖는 균주에 대해서는 약제에 대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후 적절한 약제를 사용한다. 치료를 시작한 후 24시간 동안은 환자를 격리시켜야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수막구균성 수막염이란, 무섭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이란, 조심해야겠다” “수막구균성 수막염이란, 예방해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