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이들이 2002년 여름을 우리나라가 월드컵 4강에 오른 역사적인 날이라고 생각하지, ‘연평해전’은 까맣게 잊고 있다. 참변을 당한 가족과 주위 사람들은 아직도 그날을 고통스러워하고 있는데, 꽤 많은 이들 기억 속에 잊힌 지 오래다.
“그날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는 취지로 제작사 ㈜로제타시네마 대표이자 서강대 영상대학원장인 김학순 감독은 이 사건을 영화화하기로 했다. 2007년 소설 ‘연평해전’을 내놓은 최순조 작가의 도움을 얻었다. 최 작가는 오랜 시간 유가족 모임을 찾은 노력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글로 담을 수 있었고, 김 감독 역시 지난 6년여 동안 전국의 추모행사를 찾아다니며 진심을 보이려 노력했다.
부단히도 애쓴 덕일까. 2012년 6월 29일 대방동 해군호텔에서 열린 ‘제2연평해전 10주기 전사상자 후원의 밤’ 에서 유가족과 해군 관계자들이 함께한 가운데, 영화 ‘N.L.L.-연평해전’은 제작을 공식화했다.
배우 정석원과 양미경 등 출연 배우들도 좋은 뜻에 동참해 재능기부를 하기로 했다. 국민도 모자란 제작비를 충당하기 위한 크라우드 펀딩에 참여했다. 50여 일 만에 2억4000여만 원이 모금됐다. 영화화 뜻에 동의하는 일반인들의 도움이 컸다.
이 과정에 오기까지 영화는 우여곡절을 겪었다. ‘연평해전’은 지난 2010년 영화진흥위원회의 제작지원 사업 작품으로 선정됐는데, 조희문 당시 영화진흥위원회 위원장 등이 포함된 9인 위원회가 재량권을 남용해 탈락시켰다. 김 감독은 영진위를 상대로 행정소송을 냈고, 법원은 김 감독의 손을 들어줬다. 이에 앞서 2010년 3월 북한의 천안함 피격 사건으로 제작이 연기되기도 했다.
이제는 순조롭게 촬영이 진행되는가 했는데 20일 ‘연평해전’이 저작권 문제로 제작이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비슷한 이야기를 하려다 무산된 이전 제작사와 저작권 문제로 갈등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김학순 감독은 “저작권 문제는 전혀 없다. 최순조 작가가 펄쩍 뛰며 놀라 했다”고 어이없어했다. 김 감독은 “여름에 있었던 일이기 때문에 날씨가 좋아지면 찍으려고 잠시 촬영을 중단한 상태”라며 “4월 초 재개하려고 했는데 이상한 이야기가 나온다. 많은 사람이 도와주고 있는데 예상치 못한 일들이 계속 생기는 것 같다”고 아쉬워했다.
‘연평해전’이 극장에 걸리고 흥행이 된다면 제작사는 돈을 번다. 감독에게도 자신의 영화가 흥행이 되면 당연히 좋을 것이고, 그것이 또 영화를 연출한 목적이기도 하겠지만 김 감독은 조금 다르다.
김 감독은 “6명 전사자 모두가 우리의 형제, 동생, 자녀였다.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잃었는데 너무 빨리 잊히는 것 같다”며 “그들을 기억했으면 할 뿐이다. 조국을 왜 지켜야 하는지 등에 대해서 생각하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감독의 ‘연평해전’이 기대치를 충족시킬지는 영화가 나와봐야 알겠지만, 그를 비롯해 영화에 참여한 제작진, 스태프, 배우 등의 의도는 박수받아야 한다. 특히 북한의 대남ㆍ대미 위협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과거 북한의 도발을 기억해 볼 만하다.
배우 정석원이 북한 경비정의 동태를 살피다 숨을 거둔 고속정 정장 故 윤영하 소령 역, 오태경이 357호에서 조타키를 움켜쥐고 발견돼 구조대원들을 숙연하게 한 故 한상국 중사 역, 노영학이 총알과 포탄이 빗발치는 함교를 뛰어다니며 부상병들을 돌본 故박동혁 병장 역을 맡았다. 이 밖에도 김지훈, 장준학, 박효준 등이 재능을 기부한다.
올해 말 개봉을 목표로 잡고 있는 영화는 지난달 10일부터 촬영에 들어갔다. 현재 5% 정도 작업이 진행됐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진현철 기자 jeigun@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