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엘리멘탈’ 언론시사회 기자간담회 사진=김영구 MK스포츠 기자 |
30일 오전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에서는 영화 ‘엘리멘탈’의 언론시사와 내한 기자간담회가 개최됐다. 현장에는 피터 손 감독, 이채연 애니메이터가 참석했다.
‘엘리멘탈’은 불, 물, 공기, 흙 4원소가 살고 있는 ‘엘리멘트 시티’에서 재치 있고 불처럼 열정 넘치는 ‘앰버’가 유쾌하고 감성적이며 물 흐르듯 사는 ‘웨이드’를 만나 특별한 우정을 쌓으며 자신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는 이야기이다.
더불어 ‘엘리멘탈’은 제76회 칸 영화제 폐막작에 선정된 디즈니·픽사 신작이다. 피터 손 감독이 ‘엘리멘탈’의 연출을 맡았으며, 이채연 애니메이터는 작품 속 3D 애니메이션 파트에 참여했다.
이날 피터 손 감독은 디즈니, 픽사 최초의 한국인 크리에이터로 내한한 것과 관련해 “정말 영광이라고 밖에 말씀드릴 수밖에 없다. 우선 부모님께 감사드리고 싶다. 이 영화를 만드는 동안 하늘나라로 가셨다. 여기서 자라고 그분들의 모든 애정을 보여주셨고, 그 덕분에 이 영화에 담아낼 수 있어서 남다른 느낌이고, 이렇게 함께할 수 있게 돼서 기쁘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채연 애니메이터는 “이민자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인 만큼 나에게도 특별한 작품이다. 이 작품으로 피터 손 감독님과 한국에 와 있다는 게 영광스럽고 마냥 설레고 있다”라고 말했다.
피터 손 감독은 내한 후 경복궁 근처를 방문, “한국을 많이 입고 있었는데 너무 아름다웠다”라며 “평양 물냉면을 처음 먹어 봤는데 너무 맛있더라”고 후기를 풀었다. 이채연 애니메이터도 “아버지를 어제 만났고, 동생도 봤다. 머무는 호텔 옆에 백화점에 유명한 커피숍이 있다고 해서 갔는데 대기가 192명이더라. 컬쳐쇼크를 받고 결국 못 먹고 다음에 가봐야겠다 생각했다”라고 답했다.
‘엘리멘탈’ 속 불의 민족이 머무는 파이어타운은 아시안 계통의 문화가 반영된 듯한 느낌을 준다. 또한 앰버의 일상 생활을 보면 일상 곳곳에서 차별을 받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런 부분에서 웨이드는 상대적으로 기득권층으로 보인다는 평도 나왔다. 원소들의 도시 연출과 관련해 피터 손 감독은 “파이어타운은 이민자 구역이라고 할 수 있다. 어릴 때 뉴욕에서 자란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그때 뉴욕에는 한국인들이 모여사는 곳, 이탈리안들, 이민자들이 모여 살았다. 이 파이어타운을 하나의 문화로 레퍼런스 삼은 것은 아니다. 파이어라고 하는 그 문화 자체이다. 외국인 혐오, 차별도 있다. 뉴욕에서 그런 것들이 반영이 됐다. 자라면서 느꼈던 것은 여러 민족 공동체들이 잘 섞이면서 살기도 하고, 어떤 부분은 잘 섞이지 못하는 것도 있다. 잘 섞이지 못했을 때 어떻게 서로를 이해하고 극복할 수 있는지 담으려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이채연 애니메이터는 “이민자로서 앰버에게 감정이입이 많이 됐다. 다양한 인종들을 만나고 다양한 문화들을 경험하면서, 어떻게 이 사람들을 이해하고 포용하고 살 수 있는지 내 경험을 통해 많이 느낄 수 있었다”라고 이야기했다.
![]() |
↑ ‘엘리멘탈’ 피터 손 감독 이채연 애니메이터 사진=김영구 MK스포츠 기자 |
이어 “처음부터 이 불이라고 하는 원소, 물이라는 원소 자체가 굉장히 그려내기 까다로웠다. 이펙트를 사용해서 어떻게 감정을 표현하느냐가 관건이었다. 예를 들자면, ‘웨이드의 팔이 불로 인해서 끓어 오를 때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그게 닭살이 돋는 것처럼 하는 건가. 어떻게 해야 하지?’라는 질문부터 불이 화가 났을 때는 화염이 더 커진다거나 그의 화가 더 표현이 될지, 촛불의 불처럼 타오를 때는 연약하고 취약해 보이고. 촛불은 불면 사라지니까. 그런 느낌이 하게끔 어떻게 이펙트를 써서 공감할 수 있을지가 최우선이고, 그렇게 스토리텔링을 해나갔다. 앰버의 내적 갈등, 모든 감정들이 밖으로 표출되게 하고자 했다”라고 설명했다.
피터 손 감독은 자신의 경험에서 ‘엘리멘탈’이 시작됐음을 짚었다. 그는 “‘굿 다이노’가 개봉을 하고 당시 라디오에 나가서 ‘뉴욕에서 나고 자랐다’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다. 뉴욕에서 그것을 듣고 나에게 오라고 해서 부모님하고 같이 갔다. 이런 세팅처럼 무대 위에 내가 있었고, 앞을 바라다 봤다. 우리 엄마, 아빠, 동생이 앉아 있는 걸 봤는데 그때 감정이 북받쳐 올라서 울기 시작했고, ‘희생해주셔서 감사하다. 고생 많으셨다’라고 말했다. 그때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많은 감정이 북받쳐 올랐던 기억이 있다. 픽사에 돌아와서 프로듀서들에게 이 이야기를 했다. 주위 동료들이 그걸 듣더니 ‘너의 이야기가 거기 있다. 그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해서 이 프로젝트는 거기서부터 시작됐다”라고 답했다.
더불어 “부모님은 60년대 말 70년 대초에 미국에서 이민을 와서 많은 걸 겪으셨다. 나도 기억이 나는게 당시에 외국인 혐오가 있었지만, 도와주신 분들도 있었다. 부모님이 겪었던 여러 일을 내가 보고, 어떤 가치인지를 배운 기억이 있다. 부모님께서는 식료품 가게를 했는데, 거기에 들어오는 다양한 사람이 있었다. 아버지는 영어를 못해도 금방 이해하고 공감을 하더라. 필요하면 다 도와주실 수 있었다. 그런 공감 능력, 인종의 다양성 등의 가치를 자라면서 피부로 느꼈기 때문에 이 영화를 통해 그려내고 싶었다”라고 고백했다.
이채연 애니메이터는 제작에 참여하며 느낀 고충으로 “아무래도 원소들의 움직임을 설득력있게 표현하는 게 힘들었다. 특히 불의 경우, 사람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사람의 몸에 불이 붙은 게 아니라 앰버 그 자체가 불이 되도록 감독님이 항상 강조를 해주셨다. 불의 일렁임들을 어떻게 더 매력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 애니메이터들이 많이 연구했다. 웨이드는 물풍선이 레퍼런스였다. 젤리나 탱탱볼처럼 보이지 않게 밸런스를 맞추는 것에 고생을 했다. 모든 원소들은 가만히 있으면 안되고 항상 움직이고 있어야 해서 가장 어려웠다. 공기도 마찬가지로 항상 둥둥 떠있는 것을 추가로 했어야 했고, 흙은 그나마 많이 움직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가장 편한 부분이었다”라고 풀었다.
각 캐릭터들의 패션 비하인드도 공개했다. 피터 손 감독은 “앰버는 불이기 때문에 녹는데 오래 걸리거나 녹지 않는 소재의 재질을 처음부터 구상했다. 한국인 디자이너인 마리아 리가 있다. 체인 드레스를 생각했다. 재질 자체도 불이 붙어도 튼튼하게 내구성 있는 재질로 생각하셨다. 원래 불의 나라, 고향에서만 찾을 수 있는 보석을 발견하신 거다. ‘녹지도 않을 거고, 이걸 입게 되면 트렌디셔널하고 로얄해보이기도 한 느낌을 줄 것이다’ 이 보석은 파이어타운에서만 구할 수 있는 여러 설정이 있었다. 마리아
또한 호기심을 자극하는 부분도 있다. 물과 불이 만난다면 어떤 아이가 탄생할까. 피터 손 감독은 “수증기”라고, 이채연 애니메이터는 “미지근한 물”이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한편 ‘엘리멘탈’은 6월 14일 극장에서 개봉한다.
[이남경 MBN스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