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사진|ENA |
변호사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무수한 드라마가 존재하지만,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만이 지닌 힘은 역시나 주인공 우영우를 특별하게 설정한 데서 출발한다. 우영우는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세상의 편견, 부조리에 맞서 나가는 우영우의 도전을 따뜻하고 유쾌하게 펼쳐내 시청자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자폐스펙트럼 인물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면서 동시에 기존의 편견을 덜어내는 점 역시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호평받는 이유 중 하나. 하지만 드라마 자문을 맡은 김병건 나사렛대 유아특수교육과 교수는 지난 22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출연, "처음에는 자문 (요청을) 받기가 굉장히 꺼려졌다"고 고민이 많았음을 고백했다.
김 교수는 "사실 대본을 보기 전에는 자문을 받기가 굉장히 꺼려졌다. 왜냐하면 자폐를 잘 묘사하면 그건 당연한 거고, 잘못 묘사하면 사회적 반향이 크기 때문"이라면서도 "대본을 보면서 이 작품 같은 경우 사회적으로 자폐에 대한 인식을 조금 상향시키는 데 도움이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가 가장 중요하게 고민한 지점은 우영우 캐릭터였다. 김 교수는 "기존에 자폐를 표현했던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캐릭터들이 자폐를 정형화시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예를 들면 (자폐인 캐릭터가) 꼭 도움만 받아야 되고, 불편한 것만 있고, 그런 것들이 많이 부각됐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자폐는 '스펙트럼'이라는 진단명에서도 알 수 있다시피 꼭 그런 것만은 아니"라며 "그래서 캐릭터를 디자인하면서 자폐의 다른 측면을 보여줄 수 있는 작업을 하려고 했다"고 설명했다.
자폐스펙트럼에 대한 설명도 덧붙였다. 김 교수는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라든지, 언어·비언어적 의사소통 장애, 상동행동적인 행동, 제한적 관심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다. 대개는 3세 이전에 발견되고 양호할 때는 성인이 돼 진단받는 일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 교수는 "예전에는 자폐에 대해 범주적인 접근을 했지만 그렇게 진단하기에 무리가 있다고 봐 스펙트럼 차원으로 옮겨졌다"며 "그렇기 때문에 자폐라고 해도 같은 모습이 아니고 굉장히 다른 모습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자폐스펙트럼을 지닌 이들이 사회에 한 발 나아가기 위해서는 "제도적 지원보다 사회적 시선의 변화가 가장 중요하다"고도 했다. 김 교수는 "특수교육 측면에서 보면 궁극적으로는 이들의 사회적 통합을 돕는 것"이라며 "장애인들에게 최고의 지원을 하더라도, 혹은 우영우처럼 아무리 재능이 있다고 하더라도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그 효과는 반감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교수는 "극중에서도 우영우는 서울대 로스쿨을 수석졸업했음에도 아무런 로펌에도 들어가지 못했다"며, "몇 년 전에 장애부모님들께서 특수학교 건립을 위해 무릎까지 꿇었다. 지금도 많은 분이 삭발을 하시면서 거리로 나가고 계신 것이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장애에 대한 지원으로 장애인들이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간다고 해도, 비장애인들이 한 걸음 뒤로
[박세연 스타투데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