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안나’ 제작발표회 사진=김영구 MK스포츠 기자 |
21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콘래드 서울에서는 쿠팡플레이 오리지널 ‘안나’의 제작발표회가 개최됐다. 현장에는 수지, 정은채, 김준한, 박예영이 참석해 작품에 대한 진솔한 이야기를 나눴다.
‘안나’는 사소한 거짓말을 시작으로 완전히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게 된 여자의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다.
이날 수지는 ‘예측불가’ 안나라는 키워드에 대해 “안나의 원래 이름은 유미이다. 유미는 현실과 이상의 간극이 아주 큰 그런 아이이다. 결핍이 아주 많고 하고 싶은 것도 많고 잘하는 것도 많아서 모두의 관심 속에서, 칭찬 속에서 자라왔던 아이였다. 사소한 거짓말로 인해서 유미의 인생이 완전히 뒤바뀌게 된다. 그러면서 안나가 되면서부터는 새로운 이름으로, 새로운 인생으로, 예측불가한 인생을 살게 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안나(유미)를 연기하기 위해 그는 10대 후반부터 30대까지 연기로 표현했다. 수지는 “일단은 유미에서 안나로 되어가는 과정이 그 유미의 심리 변화가 잘 보였으면 해서 그 부분을 많이 신경을 썼다. 학창 시절에 밝았던 유미, 위축된 유미, 안나가 되어서는 조금 목표가 확실해져서 그런 눈빛이나 변화가 다른 사람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신경을 많이 썼다”라고 답했다.
정은채가 맡은 현주는 ‘시선강탈’이라는 키워드로 소개됐다. 그는 “안나와는 상반되는 캐릭터이다. 태생부터 많은 것들을 가지고 태어난, 소위 말해서 우월한 삶을 살고 있는 아주 편안하고 즐겁고 마냥 좀 많은 것들이 재밌고 신나는 쪽으로 늘 기운이 기우는 인물이다”라고 말했다.
관전 포인트 토크에서는 흥미로운 ‘안나’라는 포인트가 공개됐다. 정은채는 “글이 굉장히 재밌었다. 한 여성의 10대부터 30대까지를 중심으로 이어지고, 한 호흡이 짜릿해서 매력적이었다. 안나뿐만 아니라 지원(박예영 분)이나 현주(정은채 분)도 마찬가지로 입체적인 여성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런 모습을 연기하고 보여드리고 싶었다”라고, 김준한은 “다양한 인물들, 여성들의 이야기이기도 하면서 굉장히 많은 사람들의 모습들, 안나에게 있어서는 거울 같이 보여지는 다채로운 모습들이 보여진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저 여러 모습 중에 나도 어딘가에 속해있을 텐데라는 생각이 들더라. 보는 분들도 여러 생각들을 하게 될 수 있는 작품이 아닐까”라고 밝혔다.
화려한 ‘안나’라는 포인트와 관련해서도 이야기했다. 수지는 이번 작품에서 150벌의 옷을 소화했다. 그는 “저렇게 많이 입었을지 몰랐다. 수많은 유니폼들과 안나가 되었을 때는 정말 화려하고 고급스러운 옷까지. 안나와 유미의 스타일이 달라서 그런 걸 보는 재미도 있을 것. 현주도 엄청 화려하다. 그런 화려한 비주얼을 보는 것도 관전포인트가 될 듯”이라고 짚었다.
![]() |
↑ ‘안나’ 수지 정은채 김준한 박예영 사진=김영구 MK스포츠 기자 |
‘안나’는 완벽하다는 키워드와 관련해 수지는 “촬영을 행복하게 했다. 현주와는 아무래도 일방적인 관계여서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별로 없다. 현장에서는 대화도 많이 하고 행복하게 재밌게 촬영했던 기억이 아주 많다. 사이가 좋다고 했지만, 남편과는 그렇게 좋지 않았다. 솔직히. 그렇지만 현장에서는 고민도 많이 나누고 (김준한) 오빠가 극 중에서와 다르게 배려를 많이 해줬다. 예영 언니와는 지원이가 유미에게 유일한 믿는 존재여서 실제로 언니와 너무 친해져서 정말 꺄르륵 거리면서 했다. 그 관계성이 카메라에도 진정성있게 담길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안나’는 소설 ‘친밀한 이방인’을 원작으로 한 동명의 작품이다. 이와 관련해 김준한은 촬영 전부터 특별함을 느꼈다고 고백했다. 그는 “원작 소설에서 영감을 받으셔서 각색은 물론 많이 된 부분이 있지만, ‘친밀한 이방인’이라는 작품도 굉장히 주목받은 작품이다. 그 신선한 소재와 감독님의 영화적인 시선이 같이 어우러져서 굉장히 이미 대본을 받아봤을 때 바로 촬영에 들어가도 될 정도로 탄탄한 구성의 시나리오였다”라고 말했다.
박예영은 “오늘 대화에서도 많이 나왔듯, 악역 아닌 악역으로 세 분이 연기를 해주셨다. 연기하기 전까지 TV로 보던 모습들도 그렇고, 리딩 때 본 실제 모습들도 맑고 선한 이미지의 분들이다. 하얗고 이런 분들인데, 시리즈에서는 반전 매력들이 보여지는 게 완벽한 포인트라고 생각한다. 찍으면서 재밌게 구경하면서 찍었다”라고 이야기했다.
수지는 안나 역을 소화하기 위해 심리전문가의 도움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심리를 이해하고 더욱 몰입하기 위해 디테일한 도움을 받았음을 짚었다. 또한 김준한은 사투리 연기를 선보였다. 그는 “경남 마산 출신이다. 오히려 굉장히 편하게 작업할 수 있었다”라며 “30분 전에 엄마와 통화했는데 편하게 나오더라”고 너스레를 떨었다.
박예영은 지원의 촬영 준비는 “공복”이었다고 답했다. 그는 “먹는 신이 많이 나왔다. 음식도 정말 다양하게 먹고 장소도 다양하고 장르 가리지 않고 계속 먹는다. 피자로 시작한 것 같다. 치킨, 짜장면, 김밥, 떡볶이, 백반, 스시 등 더 있는 것 같다. 정말 많이 먹었다”라며 “공복일 때 먹으면 좋은 건 요거트”라고 추천했다.
수지는 “‘안나’로 산 건 너무 힘들었다. 극도의 불안감에 시달리면서 그런 걸 못견딜 것 같다는 생각을 하면서 너무 힘들게 산다는 생각을 하면서 안나가 안쓰럽기도 했다. 안나가 왜 이런 것들을 견디면서 살까, 부질없이 느껴지는 순간이 오는데 나도 한 번씩 왔다. 안나가 참 힘들게 사는구나 하면서 보내왔다”라며 “수지로 사는 기분은 좋다. 아주 좋다. 수지가 아니었으면 한 적 없다. 난 내가 좋다”라고 밝혔다.
이어 “안나가 ‘리플리 증후군’이라고 말하기 어렵다고 느꼈다. 심리전문가분과 디테일하게 이야기 하면서, 유미는 생각보다 안나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죄책감을 많이 느낀다. 유미의 불안들이 좀 더 많이 보이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든다. 좀 더 변화가 잘보이는 다른 지점인 것 같다. 평범한 학생에서 다른 인물로 바뀌는 지점이 안나 만의 다른 점 같다”라고 덧붙였다.
김준한은 수지의 남편
[영등포(서울)=이남경 MBN스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