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영화 `브로커` 스틸. 사진|CJ ENM |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담담한 연출과 한국 배우들의 연기가 만나 울림을 전한다.
영화 ‘브로커’는 베이비 박스를 둘러싸고 관계를 맺게 된 이들의 예기치 못한 특별한 여정을 그렸다. 일본 거장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첫 한국 영화 연출작이며, 지난달 열린 제75회 칸국제영화제 남우주연상을 거머쥔 송강호를 비롯해 강동원 이지은 배두나 등 국내 간판 배우들이 의기투합했다.
거센 비가 내리는 어느 날 밤, 엄마 소영(이지은 분) 베이비 박스 앞에 아기를 놓고 사라진다. 세탁소를 운영하지만 늘 빚에 시달리는 상현(송강호 분)과 베이비 박스 시설에서 일하는 보육원 출신의 동수(강동원 분)는 아기를 몰래 데려간다.
하지만 이튿날 생각지 못하게 소영이 아기 우성을 찾으러 돌아온다. 아기가 사라진 것을 안 소영은 경찰에 신고하려 하고, 상현과 동수는 우성이를 잘 키울 적임자를 찾으려고 했다고 변명한다. 소영은 우성의 새 부모를 찾는 여정에 상현, 동수와 함께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지켜본 형사 수진(배두나 분)과 후배 이형사(이주영 분)는 이들을 현행범으로 잡고 반년째 이어온 수사를 마무리하기 위해 뒤를 쫓는다.
‘브로커’는 각자 다른 사연과 상처를 지닌 인물들이 “이상한 가족”처럼 서로를 변화시키는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려낸다. 자칫 심심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무거운 소재와 이야기를 담백하게 풀어낸다.
영화 속 캐릭터들은 쉽게 옹호할 수 없지만, 선악을 분명하게 구분 짓기 어렵기도 하다.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은 그런 인물들을 통해 여러 생각과 고민을 하게 만든다. 아이를 버린 엄마와 버려진 아이를 향한 여러 시선을 담고 있으나 명확한 정답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굳이 혼자 다 할 필요는 없다”, “태어나줘서 고마워” 등 각 인물이 처한 상황이나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꽤 직접적으로 전달하며 위로를 전한다. 차가운 현실과 무거운 소재를 다루고 있으나 마냥 어두운 건 아니다. 영화 곳곳에 웃음 코드를 살짝 녹여냈다.
배우들도 자신이 맡은 캐릭터들을 담담하게 연기하며 빛을 발한다. 칸에서 한국 배우 최초로 남우주연상을 받은 송강호의 연기는 말할 것도 없다. 왜 송강호인지 알게 해준다. 이지은(아이유)도 제 몫을 다한다. ‘브로커’를 통해 상업영화 데뷔를 성공적으로 치러냈다. 강동원 배두나 이주영도 제 몫을 다한다. 아역 임승수도 능청스러운 연기로 신스틸러 역할을 톡톡히 한다. 깜짝 등장하는 배우들도 그렇다.
담
[양소영 스타투데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