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방송 화면 캡처 |
지난 27일 방송된 ‘유퀴즈’는 ‘너의 일기장’이라는 주제로 꾸며져 새 덕후 김어진, 한국고전번역원 정영미, 배우 박보영이 자기님으로 출연했다.
이날 방송 말미 ‘유퀴즈’ 제작진은 ‘나의 제작일지’라는 제목의 에필로그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 있는 tvN 모회사인 CJ ENM 사옥 전경과 제작진의 메시지를 담았다. 배경 음악으로는 임영웅의 ‘우리들의 블루스’를 사용했다.
제작진은 “폭풍 같았던 지난 몇 주를 보내고도 아무 일 아닌 듯 아무렇지 않은 듯 쳇바퀴에 그저 몸을 맡겨야만 하는 나의 제작 일지”라고 운을 뗀 뒤, “2018년 어느 뜨거웠던 여름날에 시작한 이 프로그램은 길바닥의 보석 같은 인생을 찾아다니며 한껏 자유롭게 방랑하던 프로였다. 저 멀리 높은 곳의 별을 좇는 일보다 길모퉁이에서 반짝이는 진주 같은 삶을 보는 일이 참으로 행복했었다. 유퀴즈는 우리네 삶 그 자체였고 그대들의 희로애락은 곧 우리들의 블루스였다”고 했다.
![]() |
↑ 사진|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
제작진은 MC 유재석과 조세호에게 고마움을 표하기도 했다. “자신의 시련 앞에서는 의연하지만 타인의 굴곡은 세심하게 연연하며 공감하고 헤아리는 사람. 매 순간이 진심이었던 유재석과 유재석을 더욱 유재석답게 만들어준 조세호”라며 고 고백했다.
마지막으로 “두 사람의 사람 여행은 비록 시국의 풍파에 깎이기도 하면서 변화를 거듭해왔지만 사람을 대하는 우리들의 시선만큼은 목숨처럼 지키고 싶었다”며 “뜻하지 않은 결과를 마주했을 땐 고뇌하고 성찰하고 아파했다. 다들 그러하겠지만 한 주 한 주 관성이 아닌 정성으로 일했다. 그렇기에 떳떳하게 외칠 수 있다. 우리의 꽃밭을 짓밟거나 함부로 꺾지 말아 달라고. 우리의 꽃밭은 꽃보다 아름다운 사람들의 것이라고. 시간 지나면 알게 되겠지. 훗날의 나에게 부끄럽지 않기 위해 제작진의 마음을 담아 쓴 일기장”이라고 글을 마무리했다.
‘유퀴즈’는 지난 20일 방송에 윤석열 당선인이 게스트로 출연하며 논란의 중심에 섰다. 정치인이 '유퀴즈'에 출연하는 것은 다양한 평범한 시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는 '유퀴즈'의 프로그램 취지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에서였다. ‘유퀴즈’ 출연은 윤 당선인 측에서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유퀴즈' 김민석, 박근형 PD 퇴사 소식이 전해지면서 온갖 추측들이 난무했다.
다음날인 21일에는 출연을 둘러싼 형평성 논란이 제기됐다. 문재인 대통령, 김부겸 국무총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이 '유퀴즈' 출연을 제안했다 거절당한 사실이 차례로 알려졌다.
‘유퀴즈’ 논란의 애꿎은 불똥은 MC 유재석에게 튀었다. '유퀴즈' 진행자인 유재석이 정치인 출연을 부담스러워한다며 제작진이 정치인의 출연을 거절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것. 그러나 이와 관련 '유퀴즈' 관계자는 매일경제 스타투데이에 "'유퀴즈' MC(유재석, 조세호)들은 제작진의 출연자 섭외에 일절 관여하지 않는다"고 일축했다. 유재석은 윤 당선인의 ‘유퀴즈’ 출연과 관련해 녹화 당일 현장에서 이를 안 것으로 알려졌다. 유재석은 이번 사건으로 악플 테러의 피해자가 됐고, 결국 소속사 안테나는 명예훼손에 대한 고소 등 법적 대응 방침을 밝혔다.
CJ ENM은 윤 당선인 출연분 방송 후 일주일이 넘도록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길어지는 침묵에 섭외 과정에 어떤 문제가 있었던 것을 간접적으로 시인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만 깊어지고 있다. 의혹의 진위 여부와는 별개로 계속되는 침묵은 다수의 피해자들을 만들어냈다.
![]() |
↑ 사진|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방송 화면 캡처 |
한국인이 좋아하는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유퀴즈’는 이번 사태로 종영까지 언급되며 방송 이래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 ‘유퀴즈’를 지키기 위해 제작진이 용기를 내서 나선 만큼, CJ ENM 역시 책임감을 느끼고 그간의 논란에 대해 진정성 있는 입장을 내놓아야 할 때다.
[신영은 스타투데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