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방탄소년단 라스베이거스 콘서트. 제공|빅히트뮤직 |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19일 "'포스트 코로나' 시기에 BTS가 국내에서 콘서트를 정상적으로 열 경우, 1회 공연 당 경제적 파급 효과가 6197억원에서 최대 1조2207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콘서트 10회면 경제효과가 12조원에 달하는 셈이다.
연구원은 코로나19가 종식된 '포스트 코로나' 상황을 가정해 BTS의 콘서트 티켓 및 기획상품(MD) 판매액, 외래 관광객의 관광 소비지출, 교통비, 숙박비 등을 종합해 경제적 효과를 이같이 추산했다.
BTS 콘서트가 열리는 공연장 규모를 6만5000석이라고 가정했을 때 외래 관람객(외국인 관람객) 비중이 20%라면 콘서트 1회(3일 공연 기준)당 생산유발효과는 6197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됐다. 외국인 관람객 비중이 35%이면 생산유발효과는 9202억 원으로 추정됐다. 외국인 관람객이 50% 비중까지 늘어나면 생산유발효과는 1조2207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5706억원에 달할 것으로 봤다. 공연 개최에 따른 고용 유발 효과는 1만815명 수준이었다.
연구원은 코로나 이후 BTS를 비롯한 K팝 가수들의 콘서트 개최가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문화 공연에 대한 '보복 소비' 심리 등이 작용하면 경제적 파급 효과는 더 커질 것으로 봤다.
앞서 지난 3월 서울 잠실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서 BTS 콘서트는 코로나19 방역 조처로 하루 1만5000명의 관객만 입장했으나 향후 공연이 정상화되면 전체 관객은 물론 외국인 관객의 비중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9일 방탄소년단 소속사 빅히트뮤직에 따르면 방탄소년단은 지난해 11월부터 LA 4회, 서울 3회, 라스베이거스 4회 등 3개 도시 11회 오프라인 공연 'BTS 퍼미션 투 댄스 온 스테이지'를 통해 약 46만명의 관객을 모았다. 라스베이거스 얼리전트 스타디움에 따르면 이곳에서 4회에 걸쳐 단독 공연을 펼치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BTS 콘서트가 코로나 이후 시대를 시작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며 "향후 대중음악 공연산업을 필두로 문화, 관광 등 유관 분야를 활성화해 코로나를 빠르게 극복할 수 있었으면 한다"고 밝혔다.
[성정은 스타투데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