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로나19에 지친 일상을 위로하는 것 중 하나는 여전히 영화다. 20 여 년 영화 기자로 일해온 윤여수 기자가 '코로나 시대, 다시 읽어볼 36편의 영화'라는 부제를 달아 신간 '당신이 좋다면, 저도 좋습니다'(드림디자인)를 펴냈다.
저자는 프롤로그에서 "이야기가 향하는 끝의 직전,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현미경과 망원경 삼아 실제 세상을, 현실의 사람들을, 넓고도 세밀하게 들여다보고 싶었다"며 "하지만 시야는 여전히 좁고, 살아온 것보다 살아갈 세상이 아직은 더 멀고 넓으며, 만나야 할 사람들은 그만큼 적지 않으리라. 그래서 이야기의 끝은 결코 글자 그대로 ‘끝’이 아닐 것이라 믿는다"며 영화가 끝나도 끝나지 않는 이야기에 대한 믿음을 책에 녹였다.
저자는 6개의 '신'에 부제를 달아 36편의 추천 영화를 소개한다.
'돌고 돌아 결국, 다시- 사람과 사람이다'에는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을 비롯해 '부산행', '너의 이름은.', '나, 다니엘 블레이크', '카트'. '내일을 위한 시간'이 담겼다.
'청춘이 꾸는 꿈에 더 마음이 쓰이는 이유'에서는 추억의 '바보들의 행진'에서 음식과 공간의 위로를 담은 '리틀 포레스트'와 '동주', '빌리 엘리어트' 등을 만날 수 있다.
이외에도 '밀양' '공공의 적' '광해, 왕이 된 남자' '카모메식당'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웰컴 투 동막골' '매드맥스 : 분노의 도로' '접속' '화양연화' 등 시대와 취향을 넘나드는 영화의 세계로 독자들을 이끈다.
저자의 영화 이야기는 영화에서 끝나지 않고, 시대와 사건, 세상과 맞물려 있다. 영화의 힘과 저자의 영화 사랑이 씨줄 날줄로 엮였다.
이준익
sje@mkinternet.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