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생일’ 제작보고회 전도연, 설경구 사진=MK스포츠 김영구 기자 |
6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CGV에서는 영화 ‘생일’ 제작보고회가 개최된 가운데 설경구, 전도연이 참석했다.
영화 ‘생일’은 2014년 4월 16일 세상을 떠난 아들의 생일날, 남겨진 이들이 서로가 간직한 기억을 함께 나누는 이야기를 담았다.
4월16일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잊지 몰할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의 유가족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로, 개봉 전인 현재도 관심이 몰리고 있다. 이종언 감독은 직접 유가족들이 진행하는 희생자 생일 모임에 참석했고, 유가족들과의 많은 대화 끝에 영화를 제작했다.
![]() |
↑ ‘생일’ 제작보고회 이종언 감독 사진=MK스포츠 김영구 기자 |
이종언 감독은 “2015년 여름, 안산에 가게 됐다. 안산은 여러 단체, 활동가들이 유가족을 위로하면서 함께하는 봉사를 했다. 치유공간 이웃라는 곳이 있었다. 저는 설거지, 사진을 찍는 것을 도와줬다. 당시 아이 생일을 다가오면 엄마들이 힘들어했다. 그런 모습을 보면서 아이의 생일에 기억하고, 가까이 함께 한 친구, 가족, 지인이 모여 생일 모임을 했다”라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안산에 있는 치유공간 이웃이라는 공간에서 유가족을 만나게 됐다. 처음에는 다가가도 되는지 조심스럽고 어려웠는데 먼저 말씀해주시고, 듣고 있으면 더 이야기 해주셨다. 그러면서 계속 이야기를 듣고 생일 모임을 함께 하했고, 영화를 만들어내는 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제가 만났던 분들에게 (세월호 유가족에 대한) 시나리오를 쓰고 있다고 했다. 이후 기꺼이 인터뷰하신 분, 일상을 함께 보낸 분들도 계셨다. 글을 다 썼을 때는 제작자와 유가족 가족협의회를 찾아갔다. 영화에 대해 말씀 드렸을 때 가족협의회 분들께서 힘내서 잘하라고, 조심스럽게 말해주셔서 힘을 얻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 감독은 “촬영하고 편집하고, 완성본이 만들어기 전 다시 찾아갔다. 안산에서 유가족 협의회에서 시사를 했다. 여러 말씀들을 고려해 최종 편집을 했다. (유가족들이) 고맙고, 수고했다는 말을 듣고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세월호 유가족들과 오랜 시간을 보내고 이야기를 나눈 끝에 영화를 만들었다는 이종언 감독. 그러나 유가족의 이야기를 다루는 것은 시기적으로 빠르지 않냐는 우려 섞인 시선도 나오고 있는 상황.
이에 “이 영화가 지금 나와야 하는 이유...시기적으로 너무 빠른 게 아니냐는 말씀이 있으신 것 같다. 그렇게 말씀하실 수 있을 것 같다. 저 또한 굳이 아픈 이야기를 들춰내는 게 실례가 아닌가라는 생각도 있었다. 그런데 안산에 있으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유가족분들이 (희생된 가족에 대해) 계속 이야기를 하시는 것을 보면서 우리가 더 많이 주목하고, 보고, 이해하고 공감하는 게 이 분들에게 위로가 되겠다 싶었다. 적절한 시
‘생일’은 특정 인물을 모티브해서 만든 영화가 아닌, 세월호 희생자와 유가족 모두를 담아냈다. 그들에게 위로와 위안을 건네기 위해, 그리고 그날을 잊지 않기 위해 만든 영화 생일, 오는 4월3일 개봉된다. 신미래 기자 shinmirae93@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