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다큐3일 거제도애광원 72시간 사진=KBS 다큐3일 |
23일 오후 방송되는 KBS ‘다큐3일’에서는 거제도애광원에서의 3일이 그려진다.
별을 수놓은 듯 반짝이는 바닷길이 유유히 펼쳐진 거제도 장승포항. 이곳엔 조금 특별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아늑한 꿈동산이 하나 있다. 사회복지법인 애광원. 지적장애인 보호 시설인 이곳에서, 사람들은 제과제빵‧원예‧섬유직조 등의 직업 훈련을 통해 자신만의 미래를 그려 나간다. 물론 많이 느리고 많이 서투르다. 쿠키 반죽을 하나 찍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걸리고, 바느질 한 땀을 뜨는 데도 수개월의 훈련이 필요하다. 숫자를 잘 몰라, 저울에 물건의 무게를 달 때도 수치를 읽는 게 아니라 모양을 외워 정도를 가늠한다.
오래 걸리지만 허투루 일하진 않습니다. 조금 답답하지만 포기하지도 않는다. ‘직업’과 ‘자립’이라는 인생의 가장 큰 선물을 얻기 위해 날마다 부지런히 배우고, 익힌다. 그들에게 직업과 자립은 단순한 의미가 아니다. 자신의 힘으로 삶을 바로 세우기 위해 누구보다 치열하고 간절하게 살아간다. 출근을 위해 동이 채 트기도 전 어둑한 새벽길을 30분씩 걸어도, 밭일을 하느라 손에 흙이 잔뜩 묻어도 스스로 무언가를 해낸다는 기쁨에 그들은 오늘도 웃는다. 주어진 매일을 선물처럼 감사히 여기는, 소박하지만 아름다운 이들의 삶 속에 ‘다큐멘터리 3일’이 함께 했다.
사회복지법인 거제도애광원은 1952년, 전쟁고아들을 돌보기 위한 애광영아원에서부터 시작했다. 이화여대 가사과를 졸업한 후 개성에서 교편을 잡고 있던 원장 김임순은 6‧25 전쟁통에 돌쟁이 딸 하나만 안고 거제 장승포로 피난을 떠났다. 그 길로 그녀의 운명은 통째로 뒤바뀌게 된다. 남편과 함께 미국 유학을 꿈꾸던 엘리트 여성이 전쟁고아들의 억척스런 엄마가 되어버린 것이다. 이후 1978년, 애광영아원은 지적 장애인 거주시설 애광원으로 전환되었고 2018년 현재, 392명의 지적장애인들이 애광원의 보호 속에 살아가고 있다.
사회복지법인 애광원은 지적 장애인 거주시설 애광원,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애빈,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성빈마을, 장애인요양거주시설 민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