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배우 이성민이 최근 MBN스타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CJ엔터테인먼트 |
‘공작’은 1990년대 중반, ‘흑금성’이라는 암호명으로 북핵의 실체를 파헤치던 안기부 스파이가 남북 고위층 사이의 은밀한 거래를 감지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첩보극이다. 1993년부터 2005년까지 실제 남과 북 사이 벌어졌던 첩보전의 실체를 그렸다. 모든 한국인이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갈 수 없는 나라로 남아있는 북한에 홀로 잠입했던 스파이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다.
이성민은 극중 북한의 최고위층 리명운 역을 연기했다. 리명운은 날카로운 인상, 감정을 잘 드러내지 않고 설득과 협박 회유를 적절히 배합하는 능력까지 갖춘 강인한 인물이다. 유연한 사고와 인간적인 통큰 호연지기로 흑금성(황정민 분)과 공동 사업을 벌인다.
“리명운의 외형적인 부분은 감독님, 분장팀과 상의해서 하나씩 정해갔다. 웬만하면 북한의 사실적인 모습을 구현하려 했다. 안경을 쓰면 좋겠다고 하셨는데, 안경 색 고르는데 오래 걸렸다. 그냥 볼 때랑, 카메라로 볼 때 톤이 달라서 여러 테스트를 거쳤다. 리명운에 대한 부분은 극중 흑금성이 최학성(조진웅 분)에게 하는 대사에 담겨 있다. ‘강인해보이고 속을 알 수 없다’고. 그 모습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했고, 흑금성과의 만남에서 긴장감을 유지하려 했다. 영화를 보고 리명운이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예민하고 신중하고 겁도 많고 영리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생각보다 마음이 따뜻하다고 느꼈다.”
‘공작’은 한국형 첩보영화답게 현란한 액션이 아닌 치열한 심리전을 다뤘다. 이로 인해 배우들은 어마어마한 대사량을 소화해야 했다. 특히 극중 북한 사투리를 소화해야 했던 이성민은 대사 전달을 위해 의도해서 사투리 강도를 조절했다고 털어놨다.
“사투리는 의도해서 강도를 약하게 한 부분이 있다. 지도해주시는 분 사투리가 너무 어려웠다. 해보려고 노력했는데 사투리에 집중하다보니 전달이 잘 안되더라. 감독님이 다른 영화에서 북한 캐릭터를 보면서 늘 불안했던 게 사투리 문제였다고 했다. 그래서 이번엔 전달에 더 신경 썼다.”
![]() |
↑ 배우 이성민이 최근 MBN스타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사진=CJ엔터테인먼트 |
남과 북 사이 벌어졌던 첩보전의 실체를 다룬 만큼 ‘공작’은 리얼리티를 강조해야 했다. 윤종빈 감독과 제작진은 철저한 자료조사와 고증 과정을 거친 끝에 90년대 시대적 상황을 리얼하게 구현해냈다. 이성민은 놀라운 프로덕션 디자인을 떠올리며 감탄을 금치 못했다.
“공간도 압도적이었고,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이 들어오는 순간, 진짜 같았다. 분장이 리얼해 실제 만난 것 같았다. 영화에 임하는 충격이 있었다. 또 공간이 리얼하지 않나. 실제 전국 각지에서 촬영했는데, 주민 분들께 영화촬영이라고 설명하고 다녀야 했다. 너무 리얼해서 놀라실까봐. 다행히 많은 분들이 이해해주셨다.”
데뷔 30년차를 넘긴 이성민은 ‘공작’을 통해 특별한 경험을 맛봤다고. 그는 오랜 배우생활을 하며 자연스레 밴 연기 습관들을 객관적으로 마주할 수 있었다며, 이 시기에 이 작품을 만나 다행이라고 얘기했다.
“‘이 신에선 캐릭터가 이래야 해’라고 생각하고 연기하려 했는데, 잘 실현되지 않아 힘들었다. 배우로서 오랫동안 나쁜 버릇이 들여 있던 것 같다. ‘공작’에서는 절제된 연기를 하며 감정이나 심리, 정서를 살짝 보여야 하는데, 그전에는 단순하고 과하게 연기했던 관성이 있었다. 그러다 이 작품을 만나니 어린 시절 작품하면서 힘들어 했던 기억이 났다. 이 나이에 특별한
8월 극장가에 쟁쟁한 작품들과 맞붙게 된 ‘공작’. 이성민은 ‘공작’에 대해 “감히 말씀드리는데, 배우들 정말 연기 잘 한다. 그거 하나만해도 이 영화는 볼만한 가치가 충분한 것 같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김솔지 기자 solji@mkculture.com
(인터뷰②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