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로벌 한일(韓日) 걸그룹 탄생을 목표로 하는 ‘프로듀스48’이 베일을 벗었다. 한일 연습생들 간의 실력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난 가운데, 아이오아이 김소혜를 잇는 ‘성장형 아이돌’이 다시 한 번 나올 수 있을까.
지난 15일 첫 방송된 Mnet ‘프로듀스48’에서는 96명 연습생들이 트레이너들에게 레벨 테스트를 받는 모습이 그려졌다. 이 과정에서 실력 있는 연습생들의 윤곽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울림엔터테인먼트 권은비는 리더십으로 소속사 동생들을 이끌었고, 과거 JYP 걸그룹 서바이벌 '식스틴'에 출연했던 이채연은 흠잡을 데 없는 댄스 실력으로 눈도장을 찍었다.
또 ‘프로듀스48’ 단체곡 '내꺼야' 무대에서 한국 센터를 차지한 플레디스 이가은도 관심을 받았다. 그는 애프터스쿨 데뷔 후 5년간의 공백기를 회상하며 “못다 이룬 가수라는 꿈을 이룰 수 있도록 도와 달라”라고 각오를 다졌고, 탄탄한 실력으로 A등급을 받는 성과를 냈다.
반면 일본 연습생들은 트레이너들에게 혹평을 받았다. HKT48은 준비한 무대를 선보였지만, 아쉬운 실력으로 씁쓸함을 자아냈다. 특히 배윤정은 “일본에서 오디션을 봤을 텐데 뭐로 뽑힌 거예요?”라고 일침을 날리기도. 이후 일본 연습생들은 “한국 연습생들과의 실력 차이를 뼈저리게 느꼈다”라며 눈물을 쏟았다.
베일을 벗은 ‘프로듀스48’의 가장 큰 이슈는 한일 연습생 간의 극명한 실력차였다. 한국에서 데뷔하는 아이돌은 수 년 간의 연습생 생활을 거친 끝에 무대에 오르는 반면, 일본 아이돌은 데뷔 후 활동을 하면서 실력을 키워간다는 차별점이 존재하는 만큼 ‘프로듀스48’ 출발점에서의 실력차이는 필연적이었다. 다만 일본 연습생으로 나선 이들이 현지에서 프로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첫 방송으로 드러난 실력의 차이는 문화적 차이 그 이상을 의미하기도 했다.
하지만 결과를 속단하기에는 이르다. 2016년 방송된 ‘프로듀스101 시즌1’에서도 다소 부족한 실력을 극복하고 데뷔 멤버로까지 활동한 사례가 있다. 김소혜는 당시 첫 레벨 테스트에서 F등급을 받았지만,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노력하는 모습과 남다른 끼로 최종 5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는 일본의 ‘성장형 아이돌’의 사례가 한국에서도 지지를 받았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프로듀스48’ 첫 방송에서는 NGT48의 야마다 노에가 이와 같은 끼를 가진 연습생으로 떠올랐다. 야마다 노에는 특유
‘프로듀스48’이 이제 막 출발했을 뿐이다. 과연 국민 프로듀서에게 자신의 매력을 어필, 또 한 번의 ‘성장형 아이돌’로 데뷔조에 합류하는 연습생이 나올 수 있을까.
trdk0114@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