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손진아 기자] 영화 ‘다른 길이 있다’ 촬영 중 발생한 서예지 배우의 실제 연탄가스 흡입 논란에 대해 조창호 감독이 공식사과했다.
20일 ‘다른 길이 있다’ 측은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배우의 실제 연탄가스 흡입 논란과 촬영 현장 안정 상황에 대한 감독의 입장을 전했다.
![]() |
↑ 사진=DB |
‘다른 길이 있다’ 연출을 맡은 조창호 감독은 “영화 제작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지는 감독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야기된 것에 대해 깊이 사과 드린다”라며 “촬영 현장에서 진행된 모든 장면에서 위계에 의한 강압적 지시가 없었다”고 사과했다.
이어 함께 논란이 되고 있는 얼음신에 대해 “얼음과 관련된 모든 촬영 시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해 무술감독팀이 함께 했다”라며 “이번 논란으로 과연 충분했는가, 당시의 판단이 옳았는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됐다”고 덧붙였다.
조 감독은 “그동안 진행된 많은 영화제 GV, 언론시사 후 기자간담회, 개별 인터뷰 등에서 서예지, 김재욱 배우는 위 촬영의 경험에 대해 작품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조금은 과장된 무용담처럼 이야기했고 저도 때로 분위기에 따라서 가담했다”라며 “영화의 제작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감독인 저에게 있으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 사과를 드린다”고 재차 사과했다.
![]() |
↑ 사진=다른길이있다 포스터 |
이하 ‘다른 길이 있다’ 촬영 중 발생한 서예지 배우의 실제 연탄가스 흡입 논란 및 촬영 현장의 안전 상황에 대한 감독의 입장.
영화 ‘다른 길이 있다’의 감독 조창호입니다.
‘다른 길이 있다’ 촬영과정에서 발생한 서예지 배우의 실제 연탄가스 흡입논란에 대한 감독의 입장을 밝힙니다.
영화 제작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총체적인 책임을 지는 감독으로써 이러한 문제가 야기된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립니다.
먼저 촬영 현장에서 진행된 모든 장면에서 위계에 의한 강압적 지시가 없었음을 말씀드립니다. 연탄가스 흡입 촬영 장면에 대해서도 자세히 말씀드립니다. 모조 연탄 제작에 우선 실패하였습니다. 제대로 구현이 안됐습니다.
특효팀, 무술팀 등이 준비된 촬영 일정을 변경하기가 곤란한 상황에서 논의 끝에 실제 연탄을 사용했지만 대부분 불이 붙지 않은 생 연탄에 나뭇가지나 나뭇잎을 태우거나, 특효팀에서 준비한(실제 이러한 상황에서 많이 사용되는) 검은 천, 그 외의 특수효과로 연기를 생성했고 부족한 부분은 후에 CG로 보충하기도 했습니다.
문제가 되는 2개의 컷이 있습니다. 연탄 전체가 클로즈업되거나 배우와 함께 잡히는 풀숏에서 하단에 아주 조금 불이 붙은 연탄을 사용했습니다. 연탄에 불이 붙지 않은 가짜임이 드러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스텝과 촬영방법을 논의, 배우의 의견을 묻고 동의를 얻었으며 예상 숏의 길이 등을 설명 후 촬영을 했습니다. 이때도 연기는 대부분 다른 물질의 도움을 받았으며 실제 영화에서 보이는 붉은 빛의 연탄은 CG의 도움을 받은 것입니다.
모든 촬영 준비를 세팅한 후 슛싸인과 함께 연탄을 차안에 배치했으며 컷싸인과 함께 배우와 연탄을 차안에서 빼내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해당 씬의 위험 장면 촬영을 위해 전문적인 스턴트도 대기시켰습니다. 이러한 과정은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조건과 관련된 것이었지 배우의 연기를 위해 실제 상황을 연출한 것은 전혀 아니었습니다.
대부분의 연기가 연탄가스가 아니었으나 미량의 연탄가스가 흘러 나왔음은 변명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이 부분은 당연히 제가 질타를 받아 마땅한 부분이며 배우의 동의와 무관하게 진행하지 말았어야 했음을 크게 반성하고 다시 한 번 서예지 배우에게 공식적인 입장문을 통해 사과의 말씀을 전합니다.
연탄가스와 다른 연기들이 배우에게 유해했음은 주지의 사실일 것입니다. 이번 논란으로 불쾌함을 겪은 많은 분들께도 깊이 사과드립니다.
함께 논란이 되고 얼음 위 씬의 촬영에 대해서도 말씀드립니다.
위에서 언급된 차량씬은 물론 얼음과 관련된 모든 촬영시에는 안전사고를 대비해 무술감독팀이 함께했습니다. 스킨스쿠버자격증이 있는 무술감독과 제가 먼저 얼음의 상태를 체크한 후 촬영 지역을 결정하였으며 얼음 위에 오르는 스텝을 최소화하여 구명조끼를 착용케 하였고 배우에게는 슈트를 입힌 후 구명보트가 대기된 상태에서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롱숏에서는 무술감독이 프레임 안에, 근접촬영에서는 프레임 밖에 대기한 상태였습니다. 촬영당시에는 예산을 오버해가며 안전사고에 대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고 생각했지만 이번 논란으로 과연 충분했는가, 당시의 판단이 옳았는가 되돌아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그동안 진행된 많은 영화제 gv, 언론시사 후 기자간담회, 개별 인터뷰 등에서 서예지, 김재욱 배우는 위 촬영의 경험에 대해 작품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조금은 과장된 무용담처럼 이야기하였고 저도 때로 분위기에 따라서 가담하였습니다. 저는 이런 큰 논란 이야기 될 것을 미처 예상하지 못한 채 촬영 당시의 배우의 열정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배우가 영화에 갖는 커다란 애정으로 이해하고 오히려 감사한 마음을 가졌습니다. 크게 논란인 이후 저는 배우들을, 배우들은 저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우리의 영화 ‘다른 길이 있다’를 걱정하고 있습니다. 서두에 말씀 드린 대로 영화의 제작과정에서 일어난 모든 일에 대한 책임은 감독인 저에게 있으며 잘못된 부분에 대해 사과를 드립니다.
언론, 그리고 관객 여러분께 염치가 없지만 감히 부탁드립니다. 제 글로 논란이 종식될 순 없겠고 여전히 질문이 존재할 것입니다. 차후에도 이 건에 대해서 책임을 가지고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끝으로 영화에 열정을 쏟아 붓고 지금도 무한 애정을 가지고 있는 서예지, 김재욱 배우 분에게 큰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2017년 1월 20일 ‘다른 길이 있다’ 감독 조창호 드림.
손진아 기자 jinaaa@mkculture.com
[오늘의 이슈] 조윤선 “문화계 블랙리스트 김기춘이 시켰다고 진술? NO” 반박
[오늘의 포토] 홍수아 '대륙 여신 판빙빙 닮아가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