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M 엔터테인먼트 이수만 회장 겸 총괄 프로듀서가 ‘제 11회 한중일 30인회’에 한국 문화계 대표인사로 참석했다.
‘한중일 30인회’는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각계 원로 및 지도자 30명이 동북아의 공동 번영을 논의하는 민간회의체. 2006년 출범 이후 매년 3국의 주요 도시를 순회하며 열린다.
올해는 지난 4~5일 일본 시즈오카에서 "세계적인 고립주의 확산-한중일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성황리에 펼쳐졌다.
이번 행사 전체회의에서 이수만 회장은 SM의 글로벌 활약상이 담긴 영상을 상영한 후 “SM은 아시아의 스타가 되길 원하고 전 세계로 나가기를 희망하는 인재들이 함께 하고 있다. 소속 가수들 중 외국인 멤버들도 전세계에서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이런 가수들의 성공을 보면서 많은 한국, 중국, 일본의 팬들은 하나의 동질성을 느끼면서 세계와 견주는 아시아인으로서의 자긍심도 함께 향유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또 “미국의 할리우드는 혼자 만들어 진 것이 아닌, 여러 나라의 창작자들과 포맷, 프로듀서들과 투자, 인적, 물적 자원들이 미국이라는 마켓에 가서 이룩한 것이다. 한·중·일 3국을 필두로 한 아시아가 힘을 합친다면 세계적인 셀러브리티와 콘텐츠가 만들어지고 세계의 트렌드를 이끄는 이른바 문화와 엔터테인먼트의 세계 중심이 되는 ‘동양의 할리우드’가 아시아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이렇게 형성된 아시아 시장이 세계를 이끄는 가장 큰 시장이 될 것이며 가장 큰 시장에서 가장 큰 스타가 나오는 것은 당연하므로 세계의 가장 큰 스타, 셀러브리티는 이 곳, 새로운 동양의 할리우드에서 탄생될 것이다”고 내다봤다.
이어 “한·중·일이 협력해서 미국과 유럽에 대비되는 아시아라는 큰 패러다임을 만들고 아시아가 전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본다.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문화이며 문화로 한·중·일 3국이 협력해서 최고의 셀러브리티와 최고의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면서 3국의 문화협력을 통한 아시아 패러다임 창출을 강조했다.
이 회장은 특히 “경제 대국이 되어야만 문화가 알려진다고 생각하는 기존 관념인 ‘이코노미 퍼스트, 컬처 넥스트’가 자리잡고 있을 때 1997년 해외를 나가면서 ‘컬처 퍼스트, 이코노미 넥스트’를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