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슈퍼스타K 2016' 책임 프로듀서가 프로그램의 저조한 시청률에 대해 입을 열었다.
22일 서울 강남구 신사동 M CUBE에서 Mnet '슈퍼스타K 2016' TOP7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슈퍼스타K'는 올 들어 시즌명을 버리고 새로운 마음으로 출발하는 것은 물론, 대대적인 포멧 변화를 감행했지만 이렇다 할 반향을 일으키진 못했다. 시청률 또한 전성기 시절에 한참 못 미치는 게 사실.
하지만 김태은 CP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사람이라 시청률에 연연하지 않는다고는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이번엔 시청률보다는 다시 '슈퍼스타K'의 본질을 찾아가자는 목표의식으로 준비했다"고 말했다.
김CP는 "자극적인, 예능적인 부분이 감소하더라도 노래에 집중하자는 생각으로 꾸몄다. 그래서 아쉬운 의견들이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 김CP는 "'슈스케'가 아니면 빛을 보지 못했을 가수들이나 새로운 음악을 들려드리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그런 점에서 잘 진행이 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자평했다.
이어 "내년, 내후년 롱런을 위해 작업하고 있다. 내부적인 평가도 괜찮은 편"이라 덧붙였다.
'슈퍼스타K 2016'은 오는 24일 첫 생방송 무대를 펼친다. 생방송 주제는 심사위원 프로듀싱 미션으로 TOP7과 거미, 길, 김연우, 김범수, 용감한 형제, 에일리, 한성
'슈퍼스타K 2016'은 총 3번의 생방송 무대를 거쳐 최종 우승자를 선발한다. 최종 우승자에게는 상금 5억과 7인의 심사위원들이 앨범 녹음 및 제작 과정에 직접 참여한 앨범 발매 혜택이 제공된다.
psyon@mk.co.kr/사진 강영국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