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손진아 기자] 김동호 신임 조직위원장과 강수연 집행위원장이 정관개정을 통해 반드시 영화제를 정상적으로 개최하겠다는 입장을 낸 가운데, 위기를 맞은 부산국제영화제가 올해 정상적으로 치러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23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부산국제영화제(BIFF)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이날 자리에는 새롭게 위촉된 김동호 조직위원장과 강수연 집행위원장은 영화제 준비에 앞서, 향후 부산국제영화제의 발전을 위한 초석을 다질 수 있는 방향에 대해 입장을 전했다.
이들은 먼저 그동안 부산국제영화제를 둘러싸고 논란이 됐던 부분을 언급하며 표현의 자유를 지키기 위해서 노력해 온 국내외 영화인과 명예를 훼손당했거나 고충을 겪은 스폰서들, 집행위원회, 자문위원들에게 사과의 말을 전하며 정관개정을 통해 영화제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보장하겠다고 입을 모았다.
![]() |
↑ 사진=정일구 기자 |
김동호 조직위원장은 “민간조직위원장으로서 다음 몇 가지 원칙을 철저하게 지켜나갈 생각이다. 지난 20년간 부산국제영화제가 일관되게 지켜나간 독립성, 자율성 등을 보장하고자 한다. 작품 선정에 있어서 누구도 간섭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집행위원장과 프로그래머가 자율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보장을 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런 것들을 기초로 해서 영화계가 바라는 방향에서 정관 개정 작업을 빠르게 완료하려 한다. 작품 선정 작업에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강수연 집행위원장은 “우리는 여전히 영화제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싸울 것이다. 여러 가지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봤다. 영화제를 하지 않고 영화제를 지킬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올해 영화제를 안 하면 내년에 영화제를 할 수 있다는 보장도 없다”라고 밝혔다.
무엇보다 김 조직위원장은 영화인들의 보이콧 선언을 철회하기 위해서는 서병수 부산 시장의 사과와 정관개정이 시행돼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다며 대신 사과의 말을 전했다. 정관개정에 대해서는 늦어도 7월말에서 8월초까지는 마칠 것을 약속하며 “영화계에서 말하는 대로 개정이 될 것이고 그러므로써 올해 10월 부산국제영화제는 확실하게 열린다는 점을 이해해 달라. 알차고 내실 있는 그런 영화제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성원해주고 잘 봐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강 집행위원장 역시 “한국영화 없이 영화제를 하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도 많았다. 영화제를 한국영화 없는 국적 없는 영화제로 만들 수는 없다. 국내 영화인들은 아직 불참 선언을 철회하지 않고 있다. 영화제를 못하겠다는 뜻이 아니라 표현의 자유의 힘을 보태려고 하는 것이다. 정관개정을 이루고 영화제를 정상적으로 치를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영화 선정만큼은 어떠한 타협도 양보 없이 할 것이다. 표현의 자유를 지키고 부산국제 영화제 사례로 전세계에 보여줄 것이다. 계속 응원해주고 도와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
↑ 사진=정일구 기자 |
한편, 부산국제영화제와 부산시 간의 갈등은 2014년, 당시 영화제 초청작인 ‘다이빙 벨’ 상영을 놓고 빚어졌다. 이후 부산시는 이 집행위원장 사퇴 종
제21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오는 10월6일부터 15일까지 열린다.
손진아 기자 jinaaa@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