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이다원 기자]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노동렬 교수가 막장드라마 문제 해결되기 위해선 작가, 편성, 제작 등의 패러다임이 바뀌어야한다고 주장했다.
노동렬 교수는 3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 방송회관에서 진행된 ‘방송 드라마의 공적 책임, 이대로 좋은가? 저품격 드라마의 공적 책임 회피현상과 개선방향 모색’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히며 “막장극 작가의 가치관, 방송사의 편성, 제작 등이 바뀌어야 한다. 또한 질적 심의 시스템도 막장극에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야 막장극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노 교수는 “막장극 작가들은 시청률지상주의라 시청률을 뽑아낼 수 있는 얘기만을 쓰고자 한다. 이런 작가들의 가치관이 바로 막장 드라마가 생산되는 원인”이라며 “막장 드라마에 맛을 들인 작가들은 막장극을 쉽게 쓸 수 있고, 쪽대본을 날려본 작가는 그럼에도 촬영이 펑크가 나지 않는다는 걸 알기 때문에 또 쪽대본을 쓰게 되는 것”이라고 일갈했다.
그는 “이런 막장극 작가들에게 기회를 주지 않는 것이 방송사의 몫이지, 이걸 매주 재단한다는 건 굉장히 어려운 일”이라며 방송사의 책임을 강조했다.
이어 막장극이 대부분 일일드라마에 집중된 것에 대해 “6개월 이상 방송된 일일드라마를 한 작가가 도맡아가기엔 버겁다. 그럼에도 방송사는 작가에게 의지하는 경향이 크다. 시청률지상주의로 무기력하게 흐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편성에 대한 생각도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에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위원장 박효종)과 한국언론학회(회장 조성겸)가 공동으로 개최했으며, 광운대학교 미디어영상학부 이창근 명예교수가 사회를 맡았다. 경기대 미디어영상학과 이규정 교수,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강혜란 정책위원, YTN 문화사회정책부 김진호 부장, 극동대 언론홍보학과 유균 교수, 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노동렬 교수, 한국드라마제작사협회 박상주 사무국장, 이금림 작가, 법무법인 대륙아주 조재연 변호사,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조연하 초빙교수,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곽현자 연구위원이 참석했다.
이다원 기자 edaone@mkculture.co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