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면 무호흡의 원인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수면 무호흡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증상으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 등의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된다. 더 나아가 저산소증이 유발, 다양한 심폐혈관계 합병증으로 악화될 위험이 있다.
수면 무호흡 환자의 대부분은 비강에서 시작되어 인후두까지 이어지는 구조인 상기도의 공간이 좁아지는 해부학적 이상 증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만으로 인해 목 부위에 지방이 축적되거나 혀, 편도 등의 조직이 비대해진 경우에도 목 안의 공간이 줄어들고
현재 수면무호흡증 치료로는 양압기 치료만이 유일하게 장기적으로 효과를 본다고 알려져 있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양압기는 수면 중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만들어 천식 등 호흡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빠른 검사와 치료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