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유지혜 기자] MBC 새 주말드라마 ‘내 딸, 금사월’이 출격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전작 ‘왔다 장보리’의 아성을 넘을 수 있을지 눈길이 모아지고 있다.
2일 오후 서울 마포구 MBC 사옥에서는 MBC 새 주말드라마‘ 내 딸, 금사월’의 제작발표회가 열렸다. 행사에는 배우 전인화, 백진희, 박상원, 손창민, 도지원, 김희정, 윤현민, 박세영, 도상우와 백호민 PD가 참석했다.
‘내 딸, 금사월’은 인간 삶의 보금자리인 집에 대한 드라마로, 주인공 금사월이 복수와 증오로 완전히 해체된 가정 위에 새롭게 꿈의 집을 짓는 드라마다. ‘왔다 장보리’의 김순옥 작가가 전면에 나서 작년 연일 화제를 모으고 연기대상의 주인공을 낳았던 그 아성을 또 다시 재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 |
↑ 사진=이현지 기자 |
하지만 ‘왔다 장보리’의 유명세는 ‘내 딸, 금사월’에게는 부담이자 그늘로 작용한다. 스타 작가의 후속작이라는 점에서 화제성 면으로는 도움이 되지만 ‘내 딸, 금사월’은 ‘왔다 장보리’와 끊임없이 비교를 당할 수 밖에 없다. ‘내 딸, 금사월’ 입장에서는 ‘왔다 장보리’가 일종의 ‘넘어야 할 산’이다.
제작진과 배우들은 이에 크게 개의치 않은 모습이다. 일단 백호민 PD는 ‘내 딸, 금사월’과 ‘왔다 장보리’가 매우 다른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백 PD는 “연민정은 욕망이 강한 캐릭터다. 하지만 오혜상은 악녀라기보다는 현대적인 내숭덩어리다. 장보리 같은 경우도 구수하고 올드한 캐릭터였다면 금사월은 정말 세련된 캐릭터”라고 다른 점을 설명했다.
백 PD는 ‘왔다 장보리’와 전혀 다른 작품을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내 딸 금사월’과 ‘왔다 장보리’는 전혀 비슷한 점이 없다. ‘왔다 장보리’ 속 장보리와 금사월은 정반대의 캐릭터다. 그렇기 때문에 정말 많은 이야기들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왔다 장보리’에 따라 붙었던 ‘막장’이라는 꼬리표에 “이번에는 자극 없이 엄마와 딸의 관계를 그려낼 것”이라고 우려를 원천차단하는 모습이었다.
‘내 딸, 금사월’에 나오는 ‘악녀’ 오혜상 역을 맡은 박세영은 작년 연기대상을 거머쥔 ‘희대의 악녀’ 연민정 캐릭터와는 또 다른 악녀 캐릭터를 만들어내겠다는 각오를 보였다. 그는 “오혜상 캐릭터를 만나면서 저도 많은 고민도 하고 준비를 하고 있다”며 “아무래도 전작의 연민정 캐릭터와는 또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고 다른 사연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표현할 때에도 다른 모습이 많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 |
↑ 사진제공=MBC |
주인공 금사월을 맡은 백진희는 ‘왔다 장보리’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에도 작품에 대한 흔들림 없는 믿음을 보였다. ‘왔다 장보리’에서 정작 장보리보다 연민정이 크게 돋보였던 것도 충분히 알고 있었지만 그는 “이번에는 금사월이 엄마를 찾는 과정이 주축이 될 것이고 다양한 감정의 폭이 재미를 줄 것”이라고 말하며 걱정하지 않는다고 대답했다.
여주인공이 없는 줄 알았던 가족을 찾고, 그로부터 벌어지는 이야기가 담기고 악녀와 등장하며 그 전 세대의 이야기가 함께 얽히는 등 ‘내 딸, 금사월’은 ‘왔다 장보리’와 몇몇 유사한 점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제 2의 장보리’라고 명명하기에는 이른 감이 있다. 백 PD의 말 대로 ‘엄마와 딸’이라는 미묘하고도 독특한 관계에 집중한다면 충분히 다른 이야기를 그려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백민호 PD는 “대한민국 엄마는 알이 부화하면 새끼들에 자신의 몸을 내어주는 거미 같은 삶을 산다. 대한민국만큼 자식을 향한 사랑이 강한 엄마들은 없다고 생각한다”며 “특히나 엄마와 딸은 친한 친구이면서도 동반자까지 되는 독특한 관계다. 이를 따뜻하고 경쾌하게 그려낼 것”이라고 전했다. ‘막장’은 줄이고 가족의 따뜻함은 더욱 높이겠다는 각오다.
과연 ‘내 딸, 금사월’은 ‘왔다 장보리’와의 차별성을 잘 살려내 이를 뛰어넘을 수 있을까.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오는 5일 오후 10시 첫 방송.
유지혜 기자 yjh0304@mkculture.com/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