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본격적인 여름을 맞아 에어컨필터 교체주기가 화제다. 가정에서는 그동안 사용하지 않았던 에어컨을 작동하기 시작했고, 에어컨 매장에도 손님들이 많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묵혀 두었던 에어컨을 다시 켤 때는 에어컨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점검하는 것이 건강에도 좋고 절전 효과도 있다"고 말한다.
실내기 안의 먼지와 냄새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에어컨 재작동 전 반드시 실내기 에어필터를 세척해야 한다. 필터가 막혀 있을 경우 전기소모량도 정상 제품보다 1.5~1.8배 많아진다. 본격 가동 전에는 냉방 모드 대신 30분 이상 송풍 모드로 켜두는 것이 좋다.
냉방 운전을 처음 시작할 때는 목표 온도를 18도 정도로 설정한 뒤 풍량은 '강'으로 선택해 찬 바람이 잘 나오는지를 확인한다. 찬 바람이 제대로 나오지 않을 경우는 대개 냉매 가스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제조업체의 서비스센터에 의뢰하면 크기에 따라 4만~10만원 정도에 주입해 준다.
에어컨필터는 2주일 정도에 한 번씩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 에어컨필터를 꺼낸 뒤 청소기나 부드러운 솔로 털어주되, 먼지가 많을 경우엔 중성 세제에 담가 세척한 뒤 그늘에 충분히 말려서 다시 끼운다.
에어컨 절전은 우선 에어컨을 켜기 전 커튼을 쳐 집안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막아주면 냉방효과가 15% 정도 좋아진다. 햇볕이 드는 곳에 에어컨을 설치하면 에어컨이 자체 온도를 낮추느라 더 많은 전기를 쓴다. 에어컨 바람은 위를 향하도록 하면 냉방에 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차가운 공기는 위에서 아래로, 뜨거운 공기는 아래서 위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에어컨은 강.중.약 사용강도에 따라 단계마다 30%씩의 절전효과가 있다. 또 실내온도를 섭씨 1도 낮추는 데 약 7%의 전력이 더 소모된다. 강 대신 약으로 강도를 낮추고 선풍기를 함께 가동하면 약 60%의 전력을 아낄 수 있다.
여름철 실내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