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유지혜 기자] tvN 드라마 ‘구여친클럽’이 조기종영의 아쉬움 속에서 2% 부족한 모습으로 막을 내렸다.
지난 13일 방송된 ‘구여친클럽’ 마지막회에서는 김수진(송지효 분)과 방명수(변요한 분) 그리고 구여친들이 각자 행복을 찾아가는 모습이 그려졌다.
이날 방명수는 김수진이 아프다는 말에 과일을 가져다주러 그의 집으로 왔지만 김수진을 두고 경쟁을 벌이던 조건(도상우 분)과 마주쳤고, 급기야 몸싸움까지 벌였다. 두 사람의 행태에 김수진은 아픈 몸을 이끌고 두 사람을 데리고 집에서 나왔고, 조건을 불러 단 둘이 이야기를 나눴다. 조건은 자시네게 “혹시 나를 좋아하냐”고 묻는 김수진의 모습에서 그의 진심을 깨닫고 “그럴 리 없지 않냐”고 자신의 마음을 숨기며 좋은 동료로 남기로 했다.
![]() |
↑ 사진=구여친클럽 방송 캡처 |
그렇게 좋은 동료가 된 김수진과 조건은 함께 영화 작업에 매진했다. ‘천재감독’ 조건의 명성과 김수진의 추진력으로 영화는 순조롭게 크랭크인을 하게 됐다. 장화영(이윤지 분)은 파혼을 했던 영재(김사권 분)의 상사가 돼 ‘무조건 야근하기’ ‘영수증 찾아내기’ 등 귀여운 복수를 시작했다. 방명수는 작품 활동을 하는 틈틈이 김수진의 작업장에 찾아가 그를 응원하는 등 외조에 최선을 다했다.
라라(류화영 분)와 조건은 조금 더 특별한 사이가 됐다. 조건과 김수진의 영화 크랭크인 기념 모임에서 다시 만난 조건에 라라는 “이렇게 진지한 역인줄 생각도 못했다. 바닥 드러날까봐 눈치 보인다”고 진심을 보이는가 하면 “나도 감독님 눈에 내가 안 차는 거 안다”며 조건을 향한 마음을 드러냈다. 이를 본 조건은 “누가 내가 똑똑한 사람을 좋아한다고 하냐”는 의미심장한 말을 남겨 라라를 기쁘게 했다.
‘구여친틀’은 조건의 영화에 카메오로 출연하는가 하면 김수진과의 우정을 더욱 돈독히 하며 친한 친구들이 됐고, 방명수와 김수진은 서로의 사랑을 고백하며 행복을 만끽했다. 결국 모든 등장인물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행복을 찾으면서 드라마는 ‘해피엔딩’으로 끝이 났다.
하지만 아쉬움은 컸다. 일단 원래도 짧은 16부작에서 4부작이나 덜어내는 초유의 ‘조기종영’ 사태가 벌어졌다. 그렇게 짧은 회차 안에 많은 이야기를 담는 것은 무리가 있었다. 이미 7~8회 분에서 방명수와 김수진의 사랑이 이뤄졌기 때문에 그 이후로는 줄곧 이들의 알콩달콩한 모습이 주로 펼쳐지며 다양한 스토리라인은 실종됐다. 방명수와 김수진의 사랑 지론으로 젊은이들에 공감을 얻을만한 명언이 탄생하던 것도 그 즈음부터 종적을 감춰 아쉬움을 자아냈다.
마지막회에 대해 애청자들은 ‘종영’을 위한 마지막 회였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높였다. 재회한 장화영과 영재 사이에 다시금 피어오른 사랑, 진지하게 연기 고민을 시작하며 ‘진짜’ 배우로 발돋움하는 라라의 모습, 라라와 조건의 러브스토리 등 아직 설명해야 할 상황들이 많이 남았는데도 이를 배우들의 대사 한 마디로 처리해버린 것이 너무한 처사라는 것이다. 하다못해 마지막 장면에서 “차 태워주기 한참 전부터 너 좋아했다. 나는 오전 내내 너를 쫓아다녔다”고 고백하는 방명수의 말에 회상 장면이라도 들어갔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애청자들은 분통을 터뜨렸다.
![]() |
↑ 사진=구여친클럽 방송 캡처 |
그동안 1%를 좀처럼 넘지 못하던 ‘구여친클럽’은 방영 전만 해도 기대작으로 꼽혔다. MBC ‘파스타’ ‘골든타임’을 연출한 권석장 PD의 케이블 신작이며, 한창 주가를 높이고 있는 배우 변요한의 첫 드라마 주연작이었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tvN판 파스타’가 탄생할 것이라며 높은 기대를 보였고, 구여친들이 등장하는 독특한 소재도 관심을 일으켰다. 하지만 결국 ‘구여친클럽’은 결국 조기종영이라는 비운을 맞게 됐다.
드라마는 방영 내내 힘을 쓰지 못했다. 첫 회에서 기록한 1.1%가 최고의 시청률이었다. ‘구여친’인 나지아(장지은 분), 장화영, 라라의 캐릭터는 확실했지만, 캐릭터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전개가 아쉬웠다. 그저 캐릭터 나열식의 스토리도 아쉬웠지만 김수진과 방명수의 러브라인도 큰 긴장감 없이 소소하게 이뤄져 드라마의 흥미 요소로 안착하지 못한 것도 패인의 원인이 됐다.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힘이 없으니 흡인력이 떨어지게 된 것이다.
드라마의 애청자 사이에서 나오고 있는 “그래도 4부작 덜어내기는 너무했다”는 말도 일리는 있다. 이야기를 봉합할 시간이 있어야 했는데 4부작이나 앞당긴 조기종영은 이를 허락하지 않았고, 결국 드라마는 졸속 전개와 ‘날림 마무리’로 급하게 끝을 맺었다. 이에 무리한 조기종영을 이끈 방송사와 제작사도 비판을 피하지 못했다. 가뜩이나 짧은 16부작에서 4부작이나 사라지니 드라마가 완성도를 가질 리 없었다. “완성도를 위해 조기종영을 결정했다”는 제작진의 주장이 우스운 변명처럼 남았다.
배우들의 열연은 빛났지만 좀처럼 난국을 타파하지 못한 ‘구여친클럽’은 방송사, 제작사, 배우들, 시청자들 모두에게 아픈 손가락이 됐다. 스타PD와 스타의 만남이 모두 성공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 ‘구여친클럽’. 용두사미가 된 ‘기대작’의 씁쓸한 퇴장이었다.
유지혜 기자 yjh0304@mkculture.com/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