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박정선 기자] “대사를 만들어 낼 때는 친구들과 술을 마시거나 멍 때리고 있을 때 즉각적으로 떠오르는 것을 메모했다”
영화 ‘스물’은 과연 충무로에서 ‘말맛의 달인’으로 이름을 날렸던 이병헌 감독의 매력이 물씬 묻어나는 영화다. ‘과속스캔들’ ‘서니’ ‘타짜-신의 손’ 등의 각색가로 활약한 바 있는 이병헌 감독의 힘 있는 대사는 관객들을 웃기고, 일상에서 건져 온 대사들로 현실감을 더해 공감까지 잡아냈다.
‘스물’은 제목에서 느껴지듯 스무 살의 젊은 혈기가 왕성한 영화다.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세 명의 친구는 갈림길 앞에 서있다. 이상과 현실이라는 길 앞에서 고민에 빠진 아이들의 모습으로 영화의 막이 열린다.
![]() |
대기업 입사가 꿈인 경재(강하늘 분)는 현실을, 만화가가 되고 싶은 동우(이준호 분)는 이상을, 그리고 치호(김우빈 분)는 갈림길 사이에 있는 들판을 걸으려 한다. 누군가는 안정적인 현실을, 누군가는 열정 가득한 이상을 선택할 때 누군가는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머뭇거린다. 이 장면은 실제 스무 살의 가장 큰 고민을 동화적으로 표현해낸 장면이다.
젊은 에너지로 중무장한 스무 살 청년들의 삶은 미숙하고 하찮은 순간들로 가득하다. 이병헌 감독은 이 청춘들의 이야기를 애서 꾸미려 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이 과도기적인 시기를 마냥 절망적이게 그려내는 것도 아니다. 시행착오를 겪으면서도 세상을 향해 첫 발을 내딛는 현실 속의 스물,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이 바로 이병헌 감독이 담은 스물이다.
감독이 병맛과 정극을 오가며 혼을 빼 놓는 사이, 그 허점을 노려 관객들의 배꼽을 가격하는 건 세 명의 배우들이었다. “이렇게 망가져도 되나”싶을 정도로 배우들은 제대로 망가졌다. 인기만 많은 놈, 생활력만 강한 놈, 공부만 잘하는 놈. 잘생긴 외모의 세 배우는 그 속에 감춰진 찌질한 매력으로 쉴 새 없이 웃음보를 쥐게 한다.
![]() |
잉여의 삶을 지향하는 인기 절정의 백수 치호를 연기한 김우빈은 지금가지 선보였던 강렬한 카리스마를 과감히 벗어던지고 완벽하게 흐트러진 모습을 보였다. 만화가의 꿈을 위해 쉴 틈 없이 준비하는 생활력 강한 동우 역의 준호는 아이돌 출신이라는 선입견이 무색할 정도로 자신만의 캐릭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 철저한 자기관리로 대기업 입사를 꿈꾸는 엄친아 경재 역의 강하늘은 코믹한 연기 변신으로 배우로서의 스펙트럼을 넓혔다.
좋든 싫든, 현재 청년들이 겪어야 할 어려움과 고민, 그리고 이를 헤쳐 나가야 하는 현실을 유쾌하게 풀어낸 ‘스물’은 향후 ‘서른’ ‘마흔’ 시리즈까지 기대하게 만들 정도로 관객들의 마음을 홀렸다. 오는 25일 개봉.
박정선 기자 composer_js@mkculture.co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