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여수정 기자] 왕이 될 수 없었던 왕자 이방원(장혁 분)과 여진족 어미 소생으로 정도전의 개가 된 민재(신하균 분), 쾌락만을 쫓는 부마 진(강하늘 분), 곱고 또 고운 기녀 가희(강한나 분). 이들이 한데 얽히고설켜 영화 ‘순수의 시대’를 이끌어나간다.
명확하다 못해 정확한 캐릭터의 성격은 인물들의 관계를 돋보이게 만들고 흠잡을 데 없는 배우들의 연기는 놀랍다. 특히 이번 작품이 첫 주연인 강한나는 신인 여배우의 스크린 등용문과도 같은 ‘노출’과 ‘베드신’을 과감하게 소화해냈다. 단순히 벗는 게 아니라 가희의 감정을 담았기에 결코 노출에만 시선이 향하지 않는다. 오히려 연기력에 더 눈길이 가게 된다.
‘빅매치’와 드라마 ‘미스터 백’으로 관객을 홀렸던 연기 요물(?) 신하균은 거친 행동과 순수한 사랑 그 사이의 균형을 맞추며 민재로 다시 한 번 이미지 변신에 성공했다. 파격 노출과 베드신도 자연스럽게 소화하며 여태까지 보이지 못했던 모습을 ‘순수의 시대’를 통해 선보인다.
![]() |
장혁과 강하늘 역시 늘 그렇듯 맡은 배역을 제대로 소화했다. 사극 드라마로 이미 시청자를 만나고 있는 장혁은 욕망에 눈 먼 이방원으로 분했다. 그저 욕망에만 사로잡힌 인물이 아니다. 가끔씩 특유의 호탕한 웃음소리를 더해 친근하기까지 하다. ‘쎄시봉’으로 감미로운 목소리를 선사했던 강하늘은 생애 첫 악역에 도전하며 이보다 더 나쁘고 잔인할 수 없다. 영화를 본 관객은 “촬영을 하고 인격적으로 죄책감을 느꼈고 심적인 어려움도 컸다”고 밝힌 강하늘의 고충을 십분 이해할 것이다. 어려웠겠지만 야비하고 자극적인 진 역을 소화한 강하늘은 박수 받아 마땅하다.
네 배우들은 각자가 맡은 캐릭터를 빛내며 극에 활력을 더했다. 그러나 배우들의 연기만 좋다고 영화의 완성도가 높아지는 건 착각이다. 이들의 연기를 뒷받침해주고 부연설명해줄 이야기와 연출력이 부족하다면 아무리 연기의 神이 와도 어색할 뿐이다.
공개된 예고편이나 티저 등을 본다면 ‘순수의 시대’는 정확하게 세 남자의 욕망에 대한, 왕국 조선의 운명에 대한 핏빛 기록이다. 하지만 정확하게 빗나갔다. 세 남자의 욕망이 드러나지만 오직 민재만 돋보였고, 그 역시 욕망보단 사랑이 더 큰 비중을 차지했다. 때문에 욕망과 분노에 대한 정보만을 알고 간 관객 입장에선 배신감을 느낄 만도 하다. 욕망과 분노는 베이스를 깔 뿐, 그 중심에는 로맨스가 강하다. 오히려 배신을 쫓는 가희에 집중하면 배신감이 조금은 반감될 것이다.
![]() |
배우들의 연기도 만족스럽고 익숙한 역사적인 인물과 새로운 인물의 조화도 좋다. 조선 개국 7년이란 익숙한 배경을 아름다우면서 신선하고 세련되게 스크린에 옮긴 것 역시 탁월했다. 하지만 이들을 한데 모으는 연출력이 아쉽다. 반찬은 참 많은데 함께 먹을 가장 기본이 되는 밥이 없어 젓가락 둘 곳이 마땅치 않은 셈이다. 오는 3월5일 개봉.
여수정 기자 luxurysj@mkculture.co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 / 사진=포스터, 스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