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아파트 화재,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규제완화가 도마 위에 오르다
의정부 아파트 화재, 대규모 인명 피해 원인 보니 ‘총체적 난국’
의정부 아파트 화재가 부족한 소방 시설과 이격거리 등의 여러 가지 이유로 더욱 큰 인명 피해를 낳았다는 지적이 눈길을 끌고 있다.
경기 의정부시 아파트 화재 사고로 대규모 인명 피해가 난 것은 건물 이격거리와 마감재, 스프링클러, 소방도로 등 다양한 문제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해 도시형 생활주택 규제가 의정부 화재 사고의 화를 키웠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 |
↑ 의정부 아파트 화재 |
이번 의정부 화재 사고의 경우 대봉그린아파트에서 옆 건물로 불이 번진 것으로 알려�ㅅ다. 10층짜리 쌍둥이 건물 형태로 지어진 대봉그린아파트와 드림타운은 간격이 1.5m 정도에 불과했다. 이 사이 좁은 공간이 마치 연통 역할을 해 드림타운으로 불이 쉽게 옮겨 붙은 것이다.
더욱이 외벽은 드라이비트라는 내부에 스티로폼이 들어 있는 단열재로 마감 처리됐다. 이 소재는 값이 싸고 시공이 간편해 많이 사용되지만 불에 취약하다. 도시형 생활주택처럼 가까이 붙어 있는 건물들에는 방염 난연 외장재 처리 시공 규정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또 이번 화재는 1층 주차장에 주차된 오토바이에서 시작된 불길이 차량으로 옮아붙어 삽시간에 피해가 커졌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 건물 1층 주차장은 늘 차들로 붐볐다. 88세대나 거주하지만, 주차장 면적이 협소해 주차 시비도 잦았다.
특히 차량 화재가 바로 주거시설로 번질 수 있는데도 스프링클러는 설치되지 않았다. 주차장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 대상은 11층 이상의 건물이기 때문. 스프링클러만 설치돼 있더라면 더 큰 참사를 막을 수 있었을 것으로 보여 안타까움이 남는 대목이다.
미국 방화협회(NFPA) 조사에 의하면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건물에서 화재 발생 시 스프링클러가 화재 확산을 막는 비율이 95%일 정도로 중요한 시설
정부는 2013년 주택법 시행령과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안을 통과시켜 지자체장의 판단에 따라 원룸형 도시형 생활주택의 입지를 제한할 수 있게 하고 주차장 기준도 뒤늦게 강화했지만 그 이전에 지어진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대대적인 안전 점검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의정부 아파트 화재, 의정부 아파트 화재, 의정부 아파트 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