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유지혜 기자] ‘한중 아이돌 분쟁에 법적 울타리가 없다’는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국내 기획사에게 취할 수 있는 최선의 방책은 무엇일까. 중국 시장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외국인 멤버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지 MBN스타가 짚어봤다.
◇ ‘아이돌도 한류 콘텐츠’…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국내 법조계는 SM엔터테인먼트(이하 SM)과 엑소 루한의 소송을 법리적 시비를 가리는 분쟁이 아닌 ‘개인적 이해관계’로 보고 있다. 게다가 슈퍼주니어 한경, 엑소 크리스, 루한 등 국내 기획사의 피해 사례가 아직은 적기 때문에 법적 보호 장치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 사진=MBN스타 DB |
가요 관계자들은 이를 두고 “국내 아이돌 외국인 멤버들이 소속사와 아무런 협의 없이 중국행을 선택하는 것을 멤버 개인 문제라고 여기는 것은 옳지 않다. 인적 콘텐츠가 점점 사라지는 현실에 경각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이돌 멤버들을 문화적 콘텐츠로 인정하지 않는 사회적 인식이 지금의 사태를 빚어냈다는 주장이다.
이뿐만 아니라 이런 계약 분쟁은 국내 방송 PD나 작가들이 중국으로 향하고 있는 현상의 연장선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국내 콘텐츠를 표절하는 중국에 강경하게 대응해야 하는 것처럼 외국인 멤버의 이른바 ‘먹튀’ 행위에 대해서도 법률을 제정해야 한다는 것이 가요계 전반의 시각이다.
더불어 기획사들의 자기반성도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높다. 한류 가요 산업의 위상이 세계적으로 높아진 만큼, 살인적인 스케줄, 불평등한 수익 분배 등 아이돌 처우가 해결돼야 한다는 논리다. 이에 대해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투명한 수익 구조와 시스템을 갖추지 못하면 계속 빌미를 제공하게 되는 셈”이라며 “지금이야말로 기획사들이 아티스트들에 불합리한 조건을 개선해야할 때”라고 진단했다.
◇ 위기의 韓 아이돌 산업, 이대로 얼어붙을까
중국 출신 아이돌 문제로 한류 아이돌 산업이 살얼음 위를 걷고 있지만 그럼에도 소속사들은 중국을 포기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성장 속도가 빠른 중국 시장의 가능성이 그 이유다.
↑ 사진=MBN스타 DB |
익명을 요구한 한 가요관계자는 “내수 시장은 커질 대로 커져 더 이상 성장이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지만, 중국 엔터테인먼트 업계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며 “현지화 전략으로 ‘해외국적 멤버’ 영입만큼 효과적인 것은 없기 때문에 앞으로도 중국인 멤버 영입은 꾸준히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 기획사들은 대안 중 하나로 중국 내의 에이전시와의 파트너십 체결을 꼽고 있다. 한 관계자는 “현재 중국에 진출한 몇몇 기획사들은 법적인 보호 대신 중국 현지 에이전시의 힘을 빌려 멤버들의 무단 탈퇴 및 중국 활동에 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만약 그룹의 한 멤버가 무단이탈해 중국 활동을 펼친다면 파트너십을 맺은 중국 기획사도 금전적 타격을 입을 것이고, 이로 인해 중국 에이전시는 이들의 활동에 제약을 걸 확률이 높다.
SM 역시 루한 사태를 맞아 “해외 각국의 파트너십을 맺은 기업들과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그동안 SM은 ‘파트너십을 맺은 기업’이라고 표현한 중국 현지의 에이전시와 공동으로 엑소의 중국 활동을 벌여왔기에 이 발언을 미뤄봤을 때 루한, 크리스 사태가 한경의 탈퇴 상황과는 또 다른 국면을 맞게 될 것이라는 점은 쉽게 추측할 수 있다. 파트너십 체결이 없었던 한경 사례와 달리 중국 엔터테인먼트 업계의 관계자들도 이들의 탈퇴를 주시하고 있으며, 크리스와 루한은 한경만큼 자유롭게 활동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 사진=MBN스타 DB |
또한 소속사 스스로 법에 저촉될 만한 계약 사항들을 아예 삭제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으로 꼽고 있다. 행여 법정 싸움에 휘말리더라도 불이익을 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 여기에 중국 기획사에 아이돌 양성 시스템을 제공한 뒤 아이돌을 데뷔시키는 한중 공동 제작 시스템 또한 멤버 무단 탈퇴를 예방하는 좋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 큐브엔터테인먼트는 지난 2103년 최초로 한중 공동제작 시스템을 시도해 중국 엔터테인먼트 회사인 싱티엔과 함께 그룹 M4M을 키우고 있다.
이처럼 법적 보호망 없이 내버려진 국내 기획사들에게는 다양한 방면으로 고민을 거듭해 사태를 미리 예방하는 것이 최선일 듯 싶다. 국가가 돌봐주지 않는 국내 가요계가 이렇게라도 노력해야만 한류 산업에 윤활유가 멈추지 않고 돌 수 있는 것 아닐까.
유지혜 기자 yjh0304@mkculture.com / 트위터 @mkculture
<관련 기사> [M+기획…中아이돌 이탈①] ‘한경부터 루한까지’…빼앗긴 아이돌, 봄은 오는가
<관련 기사> [M+기획…中아이돌 이탈②] ‘멤버가 집나갔다’…法 “법적 울타리? 전혀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