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영화 ‘도둑들’(감독 최동훈), ‘광해, 왕이 된 남자’(〃추창민)가 연달아 관객 1000만명 기록을 뛰어넘었다. 순위 매기는 걸 좋아하는 우리나라이다 보니 많은 보도와 함께 한국영화의 발전 가능성이 점쳐졌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밝힌 것처럼 “한국영화 관람객 1억명 시대가 도래했다”는 사실과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김기덕 감독의 ‘피에타’가 최고상을 받은 해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영화의 발전 가능성은 더 높은 듯 보였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대기업의 횡포가 여실히 드러난 한 해이기도 하다. 이른바 대기업 영화가 끈질기게 상영관을 쥐고 놓지 않은 결과, ‘만들어진’ 기록은 더 늘어갔기 때문이다. 현재는 ‘도둑들’이나 ‘광해, 왕이 된 남자’가 1000만명 이상을 동원했을 영화인지 평가를 하는 것 보다 그 현실 상황 자체가 더 주목을 받았다. 대기업 쪽은 “당연한 판촉 행사”라며 해명을 해야 하기도 했다.
여전히 1000만 영화를 향한 시선과 평가는 그리 좋지는 않다. 끊임없이 터져 나오는 영화계 양극화 문제 때문. 올해는 특히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더 심했다는 비판이 목소리를 높였다. 작은 영화들은 살려달라고 아우성쳤다. 민병훈 감독은 자진해서 자식 같은 영화 ‘터치’ 간판을 내렸다. 이외에도 꽤나 많은 영화들이 관객을 찾아 가려했으나 하루 이틀 만에 현실의 벽에 무릎을 꿇어야 했다.
올해 1000만 영화의 성공은 우려를 낳는다는 지적도 있다. 대기업이 기획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개입을 해 영화를 쥐락펴락 할 수 있는 지위가 더 커졌기 때문이다. CJ엔터테인먼트가 대부분의 과정에 개입한 ‘광해, 왕이 된 남자’가 첫 성공 케이스다.
올해 성공했다는 평가에 따라 대기업은 더 많은 시도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기업이 좀 더 적극적으로 영화계에 뛰어드는 것에서 내년 한국영화의 외향이 커지는 것처럼 보일지 모른다. 하지만 그에 반해 작은 영화들은 더욱 더 살기 힘들 것 같다는 안타까운 마음이 클 수밖에 없다.
예전에 대기업 직원들이 영화 촬영장에서 대기업이 원하는 대로 찍고 있는지 감시한다고 했었는데 그럴 가능성이 더 커지지 않았나 하는 것도 우려하는 점이다. ‘미스터 K’를 통해 이미 대기업의 입맛에 맞지 않은 이명세 감독이 하차한 사실을 목격한 바 있다. 그 외에도 석연치 않게 하차한 연출자가 꽤 된다.
때문에 내년에 다양한 영화가 나올 수는 있을지 걱정하는 시선이 많다. 영화계에서는 “대기업의 입맛에 맞는 영화만 나오진 않았으면 한다”는 바람이 여기저기서 들린다. “이제 1000만이라는 숫자는 아무 의미가 없는 숫자”라는 비아냥도 나온다. 내년에는 영화진흥위원회 박스오피스 순위 기준이 매출액 집계 위주가 된다고 하니 ‘1000만’ 숫자가 정말 의미가 없어질 전망이다.
앞서 한국영화계는 지난 7월 동반 성장하자며 교차상영 금지를 약속했으나, 한쪽 귀를 지나 다른 쪽으로 흘러 나가버렸다. 매년 똑같은 도돌이표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진현철 기자 jeigun@mk.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