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포의 대명사로 불리던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벌어진 22일 간의 잔인한 기록을 담은 실화. 고 김근태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자전적 수기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물론 혹독한 고문을 담은 영화지만 과거를 통해 미래를 향해 진전할 수 있는 길도 담았다.
박원상이 끔찍한 고문을 당하는 김종태를 연기해 김 상임고문을, 이경영이 이두한을 연기해 희대의 고문기술자 이근안을 떠올리게 한다. 이경영의 만행에 분노가 이는 것은 당연하고, 그 고문을 온몸으로 겪어야 하는 박원상을 보고 있으면 마치 내가 고문을 받는 듯 고통스럽다.
“이 역할을 누구한테 하라고 하기는 힘들었죠. 앉아있거나 누워있는 게 전부고, 또 고문을 당하는 것이니 보통 힘든 연기가 아니었거든요. 솔직히 ‘부러진 화살’에서 안성기를 캐스팅 했으니 이번에 적어도 안성기 급 정도는 돼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모두 거절하더라고요. 박원상은 ‘부러진 화살’에서 함께 했으니 나를 전폭적으로 신뢰할 것이라고 생각해 잡았죠. 물론 박원상도 이미 내가 다른 배우들에서 헤매다가 온 것을 알고 있을 테니 만났을 때 ‘네가 할 수 있는 일은 못된 감독한테 연기로 복수하는 것 밖에 없다’고 했어요. 그 복수는 성공한 거죠.”(웃음)
![]() |
정 감독은 “영화를 보는 관객들을 불편하게 만들고 싶었다”고 털어놓으며 “그 자체는 성공적이라서 좋은데 그것 때문에 영화를 보고 나간 관객들이 ‘이 영화 힘들어. 보지마’라고 할까봐 걱정이다. 힘들지만 꼭 봐야 하는 영화라고 말했으면 좋겠다”고 바랐다.
정 감독은 ‘남부군’(1990), ‘하얀전쟁’(1992), ‘헐리우드 키드의 생애’(1994), ‘부러진 화살’로 대한민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를 비판적인 시선으로 바라봤다. 이것이 그가 가장 잘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인지, 다른 사람들이 이런 이야기를 끄집어내지 않아서인지 궁금했다.
정 감독은 “가장 잘 하는 것이기도 하고, 다른 사람들이 안 하는 것이니까 한다”며 “다양한 시도를 해봤는데 이런 작품을 할 때 사람들이 더 재밌게 보고, 나 또한 보람도 느낀다. 다른 사람들과 차별화 되는 것 같다”고 웃었다. 이어 “완전한 상업영화가 뭔지는 모르겠지만 그렇게는 못 만들 것 같다”며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보길 바라는 마음으로 작업한다. 이번에 ‘부러진 화살’보다 관객이 더 드는 사건이 생긴다면 내가 생각해도 난 대단한 놈 같다고 느낄 것”이라고 웃었다.
그는 ‘부러진 화살’ 때도 그랬지만, ‘남영동 1985’를 만들면서 정치적인 외압을 받지 않았다고 했다. “내게 압력을 가하면 자기들한테 손해라는 것을 안다”고 웃었다.
![]() |
그에게 ‘돌직구’ 감독이라는 수식어가 따라 붙었다. 돌직구는 원래 야구에서 구위 좋은 직구를 일컫는다. 제대로 공을 쳐도 멀리 뻗지 못하는 직구. 인터넷에서 이 표현은 거론하기 힘든 주제를 거침없이 밝히고 지적하는 뜻으로 사용된다. 돌직구라는 말을 잘 몰랐던 정 감독은 설명을 해주자 “아마 돌은 아닌 것 같다”고 웃으며 “돌을 맞으면 아파해야 하는데 아파하지 않더라. 누가 아파했나”라고 아쉬워했다.
정 감독은 1년 정도 작품 활동을 쉬다 아이들과 관련한 이야기를 만들 예정이다. 그에 앞서 한국영화계에 비판적인 칼날을 세운 영화 ‘영화판’으로 관객을 다시 찾는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진현철 기자 jeigun@mk.co.kr/ 사진 강영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