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기덕 감독이 4년 만에 18번째 영화 ‘피에타’로 돌아왔다. 제작에 참여한 영화 ‘영화는 영화다’로 금전적 피해를 받고, 장훈 감독과의 불화 보도 등으로 고통 받았던 그는 복귀의 변을 이 같이 밝혔다.
19일 서울 중구 정동에 위치한 대한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에서 열린 ‘피에타’ 제작보고회에 주연배우인 이정진, 조민수와 함께 참석한 김 감독은 시종 밝은 표정이었고, 과거의 시련은 잊은 듯 농담과 함께 유쾌한 모습을 보였다.
‘피에타’는 성모 마리아가 죽은 예수를 안고 비탄에 잠겨 있는 모습을 묘사한 미술 양식을 뜻한다. ‘자비를 베푸소서’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기도 하다. 김 감독의 영화 포스터도 이 형상을 하고 있다.
‘자비를 베풀라’는 말이 본인에게 하는 말 같다고 하자 김 감독은 “나를 포함해서 모든 사람들”이라고 했다.
김 감독은 “여러 가지 제목 가운데 피에타라고 정한 것은 현대를 사는 우리들은 모두 신 앞에서 자비를 바라야 하는 것 아닌가하고 생각했다”며 “크게는 전쟁, 작게는 사소한 싸움까지 돈 때문에 많은 것이 엉켜버린 상황 같다. 대부분이 돈, 명예 때문에 그렇게 된 게 아닐까 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시사적인 면만 있는 게 아니라 가족에 대한 이야기, 복수에 관한 이야기도 내포하고 있다”며 “또 가장 중요한 것은 현대사회가 거미줄처럼 엉켜있다는 것이다. 15살부터 군대 가기 전까지 약 7년간 청계천에서 일한 적이 있는데 청계천이 향후 몇 년이면 없어질 것 같다. 청계천을 통해 자본주의에 잠식당하는 모습을 비유하고 싶었다”고 강조했다. 극중 청계천은 영화의 시작인 동시에 미스터리의 키를 쥔 여자의 정체가 밝혀지는 중요한 공간이다.
영화는 악마 같은 남자 강도(이정진) 앞에 어느 날 엄마라는 여자(조민수)가 찾아와 이 두 남녀가 겪게 되는 혼란, 그리고 점차 드러나는 잔인한 비밀을 그린 작품이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비극을 다루며 대중이 보편적으로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를 지닌 동시에, 김기덕 감독만의 개성 넘치는 영화 색깔을 그대로 전할 계획이다.
또 2001년 ‘나쁜 남자’보다 더 잔인하고 악랄하지만 통렬한 슬픔을 전할 예정이라 눈길을 끈다. 김 감독은 “배우들은 중요한 재료이자 물감이라고 생각한다”며 “물감이 있어야 그림을 그리는데 배우들은 다양한 색깔처럼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번 영화에서는 ‘나쁜 남자’의 여성 캐릭터와는 접근방식이 다르지만 그 안에 논란의 소지는 있는 것 같다”고 기대케 했다.
김 감독은 자전적 다큐멘터리 ‘아리랑’으로 지난해 칸국제영화제에서 상을 받았을 때도 공식석상에 나서는 것을 꺼렸다. 인터뷰도 거절했다. 또 영화 촬영 현장에서 현장공개 행사 식으로 언론을 대한 적은 있지만 18번째 영화 가운데 처음으로 이날 제작보고회에 참석했다.
그는 “어떤 신념 때문에 발언을 안 하고 인터뷰도 안했다”며 “죄송하게 생각한다. 하지만 감독은 영화로 말해야 한다는 게 내 첫 번째 원칙이다. 감독은 자기 생각을 들키지 말아야 할 대도 있다고 생각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예전에는 고집스러운 면이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내 속에 있는 것을 100% 동의 받으려하지 말자. 조금 부드럽게 살아가자’는 생각을 했다”면서도 “또 언제 변덕을 부려 숨을지는 모르겠다”고 웃었다.
이날 제작보고회에는 김 감독의 16년 영화인생을 담은 ‘히스토리 영상’과 배우들의 열연이 돋보이는 ‘포스터 촬영현장 영상’ 등도 공개됐다. 공식 트위터를 통해 김 감독과 조민수, 이정진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진현철 기자 jeigun@mk.co.kr/ 사진 강영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