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디션 출신들의 소속사 계약이 화제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슈퍼스타K’ 역시 매 시즌 프로그램이 끝난 직후 출연자들의 거취 문제가 화제였다. 프로그램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던 만큼 당연한 반응이다.
‘K팝스타’ 의 경우 SM JYP YG라는 기획력이 탄탄하고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가수 지망생들의 선망이 되는 대형 기획사가 참여한 만큼 보다 가수와 소속사 양쪽 모두 홍보 성격이 좀 더 노골적으로 드러난다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대동소이 하다.
대부분의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들은 방송 직후 소속사 계약을 맺자마자 곧바로 데뷔한다. 오디션 프로그램 출신을 영입한 기획사 역시 이들이 인기가 어떻게 얻어졌는지 알고 있고, 그 수명도 충분히 예측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쯤에서 고개가 갸우뚱 해진다. 기획사의 역할이란 무엇인가 하는 대목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오디션 출신들은 정식 가수 데뷔 전 아마추어다. 이들의 인기는 객관적인 실력 보다는 프로그램을 통해 그려지는 드라마와 스토리를 통해 얻어진다. 결국 이들이 데뷔 할 수 있었던 것은 기획사가 아니라 순전히 방송사 덕이다. 기획사는 말 그대로 매니지먼트만 하는 곳이 된다. 기획사라고 부를 이유가 없다.
수펄스가 대표적인 경우. 수펄스 멤버 개개인의 실력은 차지하고라도 이 조합은 애초 YG 기획력의 결과물이 아니다. 수펄스 멤버들이 오랫동안 함께 연습하고 호흡을 맞춘 것도 역시 아니다. 결국 ‘K팝 스타’의 반짝 기획이 YG 수익을 책임지게 되는 결과다. 국내 최대 기획사라는 SM JYP YG가 이 정도 수준이니 다른 중소기획사는 말할 것도 없다.
이는 ‘나는 가수다’ 출연 이전과 이후의 양상을 보면 확연해진다. 실제로 ‘나는 가수다’라는 기획 없이 이들의 존재 가치가 이토록 대중들의 외면을 받을 이유가 있는가 하는 점이다.
모든 가수들이 각각 기획사가 있다는 점을 상기했을 때 해당 기획사들이 대체 지금까지는 어떤 역할을 했느냐는 질문을 역으로 던진다면 할 말이 없다.
물론 이 같은 문제는 뿌리 깊은 연예산업 구조에서 기인한다. 방송출연 외에 홍보 수단을 발견하지 못한 기획사들이 오랫동안 방송에 기대 유지돼 왔고 방송사는 이를 바탕으로 기획사에 대해 갑 위치에 놓였던 것은 어제 오늘 얘기가 아니라는 것. 방송사가 자사의 가요 프로그램 시청률이 5%를 채 넘기지 못해도 여전히 유지하는 이유는 이를 통해 가수들을 핸들링하기 용이하기 때문도 사실이다.
실제로 가요 프로그램 출연 혜택이(?) 방송사의 타 예능프로그램 섭외권으로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다. 윈-윈이라고 할 수 도 있겠지만 어떤 경우에는 분명 족쇄가 된다. 적어도 가수들의 TV 출연과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률은 곧 방송사의 광고수익이 되지만 이것이 가수들의 실제 수익과 직결되는 것은 분명 아니다.
외국과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미국의 경우 가수들의 TV 출연은 거의 없다.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방송에 나와 노래를 부르는 것은 상상조차 하기 힘들다. 가요 프로그램 자체가 없다. 자기 콘텐츠의 가치에 대해서 가수들이 분명히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17년만에 재결합한 들국화 기자회견에서 전인권은 ‘나가수2’를 언급하며 “도살장 같다. (방송에) 흔들리다 보면 존경받는 가수가 될 수 없다. 아직도 누가 세상을 폼 나게 사는지는 답이 안나왔다”고 말했다.
실제로 들국화 1집 앨범은 군부독재시대라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전곡이 방송금지 판정을 받았지만 아이러니하게 수록곡 전곡이 히트한 앨범으로 기록되고 있기도 하다.
들국화 같은 밴드가 다시 나올 수 있는 시대는 아닐지 모르지만 모든 가수들과 기획자들이 기억해야 할 대목임은 변함없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이현우 기자 nobodyin@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