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화 ‘도가니’(감독 황철현)가 처음 언론에 공개된 그 날, 차오르는 눈물을 꾹꾹 누르느라 고생했단다. 슬픔 분노 좌절 희망… 어떤 한 가지 표현으로도 정의내릴 수 없는 ‘도가니’에 대한 공유의 단상.
‘도가니’는 2005년 한 청각장애학교에서 벌어진 아동 성폭행 충격 실화를 극화한 작품. 알려졌다시피 공지영 작가의 베스트셀러 ‘도가니’는 최초 공유의 제안으로 영화화가 시작됐다. “왜 그런 거 있죠? 돌부리에 걸려 넘어진 아이가 울지 않다가 엄마가 달래주면 비로소 울음을 터뜨리는. ‘도가니’는 그런 영화 같아요. 멋모르고 영화화를 제안했지만 찍다 보니 너무 큰일을 벌인 게 아닌가 하는 부담이 들기 시작했죠.”
![]() |
‘도가니’의 영화화가 결정된 뒤, 다시 책을 꺼내보진 않았다. 원작 속 캐릭터와의 차별화를 위해 일부러 보지 않은, 그런 흔한 이유에서였을까? “(그 충격이) 처음으로 충분했거든요.”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웃으며 말하는 그의 눈빛에는 진지함이 담겨있었다. 영화 홍보에 발 벗고 나서야 함에도 불구, “두 번 세 번 봐달라”는 말은 차마 못 하겠다며, 대신 “응원해 달라” 당부한다.
촬영장은 팽팽한 긴장과 이완의 연속이었다. 아동 성추행이라는 무거운 소재를 시각적으로 다루는 작업은 아역이나 악역, 관찰자 모두에게 고충이었기에, 고도의 집중력이 요구됐다. 공유는 힘든 연기를 흠 잡을 데 없이 소화해 준 아역들에게 감탄을 보낸 한편, “이상형 월드컵에서 강동원, 송승헌에게 결국 졌다”고 분통을 터뜨리며 싱긋 웃는다.
기억에 남는 장면으로 법정 씬을 꼽은 공유. 이후 등장한 물대포 씬도 여전히 생생하다. “처음엔 보호 차원이었는지 좀 약하게 해주셨어요. 솔직히 휘청 했지만 원래대로 쏘시라고 말씀드렸죠. 맞아보니 와... 진짜 밀리더라고요.” 머리에 맞은 순간 “아찔했다”는 공유는 그 자리에서 연기 없이도 쓰러질 수밖에 없었다. “잘려나간 분량이 너무 많다”며 내심 아쉬움을 표하며 ‘무삭제판’ 욕심을 드러내는 공유. 하지만 실제 시위 현장에선 여전히 물대포가 쏘아지는 현실에는 마음이 무겁기만 하다.
![]() |
극중 인호와 유진의 ‘계란으로 바위치기’는 (실패는 아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고, 인호는 사건의 배경인 무진을 결국 떠났다. “(인호에게)연민이 들었던 건, 그가 이해 됐기 때문이에요. 아마 모든 가장이 그러지 않을까요. 그래서 개인적으론 인호를 더 무능하게 그렸으면 했죠. 남루할 대로 남루하게.” 공유를 누구보다 잘 이해했던 황 감독과의 절충과 타협 끝 소설과는 또 다른, 스크린 속 인호의 모습이 탄생했다.
그렇다면 인호에게 무진은, 그리고 공유에게 무진은 어떤 도시로 기억될까. 한참 고민 끝에 내려놓은 공유의 답은 “똑같을 것 같다”였다.
![]() |
인호는 무기력한 ‘우리’의 반영이다. 하지만 인호의 마음은 결코 무진을 떠나지 않았으리라. 하얀 안개에 가려진, 어느덧 아련하게 떠오르는 그 곳. ‘1년 후’라는 자막과 함께 무진을 향한 인호의 눈은 ‘도가니’를 향한 우리의 눈과 결코 다르지 않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박세연 기자 psyon@mk.co.kr/사진=팽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