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두 발언하는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 사진=연합뉴스 |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채권·단기자금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이 지난달 말 기준 27조 원 이상 충분히 남아있다"면서 "내년 초에는 공급 가능 재원이 더욱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그는 지난 13일 금융권, 신용평가사, 학계 전문가들과 연 금융시장 현안점검·소통 회의에서 "최근 발생한 일련의 사건들은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가 아니라 예외적 일시적 충격에 해당하는 만큼 금융시장은 점차 안정을 찾아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고 금융위가 오늘(15일) 밝혔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현재 운영 중인 총 40조 원 규모의 채권·단기자금시장 안정 프로그램이 내년 말까지 운영되도록 조처했다면서, 지난달 말 기준 채권시장안정펀드 약 14조 4,000억 원, 정책금융기관 회사채, 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 약 8조 1,000억 원 등 채권·단기자금 시장 안정을 위한 재원이 충분히 남아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내년 초 2조 8,000억 원 규모의 프라이머리채권담보부증권(P-CBO) 공급프로그램이 가동되면 공급가능 재원은 더욱 증가할 것이라며, 필요한 경우 기존 프로그램의 규모를 신속히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내년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과 관련, 중국산 메모리 반도체와의 경쟁 심화, 트럼프 행정부의 반도체 보조금 철회 가능성 등 일부 위험 요인들이 있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의 고대역폭 메모리(HBM) 분야에서의 기술 지배력, 중국 정부 경기부양에 따른 스마트폰, PC 등 범용 제품 수요 회복 가능성을 고려할 때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석유화학 산업과 관련해서는 최근 중국의 설비증설과 자급률 확대, 중동 국가 등 새로운 경쟁자의 등장 등으로 업황이 부진한 측면이 있었지만, 내년에는 지정학적 상황 변화에 따른 우리 기업들의 가격경쟁력 회복 가능성, 인도·동남아시아 등 신시장의 가파른 성장 등 기회요인이 있는 만큼 그간의 부진을 만회할 기회가 열려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참석자들은 관세부과, 보조금 폐지 등 트럼프 2기의 미 경제정책 변화와 우리나라 주력산업에서 중국과 경쟁 심화 등이 향후 주요 산업의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김 부위원장은 "당장의 충격을 극복한
[김경태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ragonmoon20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