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은행 대출 창구 / 사진=연합뉴스 자료 |
금융권 대출을 제때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옛 신용불량자)가 된 20대가 급증했습니다.
신용유의자는 연체 기간이 정해진 기간(대출 만기 3개월 경과 또는 연체 6개월 경과 등)을 초과하면 신용정보원에 등록되며 신용카드 사용 정지와 대출 이용 제한, 신용등급 하락 등 금융 생활에 여러 불이익을 받습니다.
1천만 원 이하의 소액대출에서 연체가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청년 생활고가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오늘(9일) 더불어민주당 이강일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 업권별 신용유의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한국신용정보원에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20대는 6만 5천887명(중복 인원 제외)으로 집계됐습니다.
2021년 말(5만 2천580명) 대비 25.3% 급증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전체 신용유의자가 54만 8천730명에서 59만 2천567명으로 8%가량 늘어난 점을 고려하면 20대 증가세가 더 확연히 드러납니다.
20대 신용유의자의 급증은 본격적으로 사회에 발을 내딛기도 전에 '빚 낙인'이 찍혀 경제적 어려움이 더 심화하는 구조로 이어집니다.
은행권에서 받은 대출을 갚지 못해 신용유의자로 등록된 경우가 3만 3천610명으로 전체의 절반 수준을 차지했습니다. 그 뒤로 저축은행(2만 2천356명), 여전사(1만 6천83명) 등 순이었습니다.
수십만~수백만 원 수준의 대출을 갚지 못한 소액 연체자 비중이 큰 것도 청년 채무의 특징으로 나타났습니다.
신용평가회사(CB)에 단기연체 정보가 등록된 20대는 지난 7월 말 기준 7만 3천379명(카드대금 연체 제외)으로 집계됐는데, 이 중 연체 금액이 '1천만 원 이하'인 경우가 6만 4천624명(88.1%)이었습니다.
20대 연체자 10명 중 9명은 소액 채무자라는 뜻입니다.
금액이 소액인 점을 감안할 때 생활비나 주거비 등 생계 관련 어려움을 겪는 청년이 상당수일 것으로 보입니다.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경기 둔화 여파에 제대로 된 일자리까지 구하지 못하며 청년층에 빚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재작년 11월 이후 2년 가까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지난 7월 청년층 가운데 일도 구직활동도 하지 않고 '그냥 쉬었다'는 청년도 44만 3천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7
이강일 의원은 "저성장이 지속되는 중에 20대 신규 일자리가 줄어들면서 청년들의 생계 어려움이 소액연체라는 결과로 드러났다"며 "청년층 소액연체를 채무조정 등 금융으로 해결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자리와 사회 정책 등 거시적 청년정책을 실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가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gghh70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