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거시경제 환경 변화 우려 반영…이익 축소·충당금 적립 등 고려"
![]() |
↑ 시중은행 자료화면 / 사진 = MBN |
올해 주요 시중은행들의 임금인상률과 성과급 규모가 전년 대비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금리 장기화에 국민들의 빚 부담이 늘어난 가운데, 은행이 '돈 잔치'를 벌인다는 비판을 의식한 조치로 해석됩니다.
오늘(15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중 하나은행을 제외한 은행들이 지난주까지 올해 임금·단체협약(임단협)을 타결했습니다.
이들 4개 은행의 올해 임금인상률은 일반직 기준 2.0%로 결정됐습니다. 지난해 3.0%에서 1.0%포인트(p) 낮아진 수준입니다.
경영 성과급도 전반적으로 줄었습니다. 지난해 평균 300%를 훌쩍 넘었지만, 올해는 200%대 수준에 그쳤습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월 기본급의 361%였던 성과급 규모를 올해 281%로 축소했습니다. 이 성과급 중 현금과 우리사주 비중도 각 300%·61%에서 230%·51%로 조정했습니다.
국민은행은 통상임금의 230%를 올해 성과급으로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지난해에는 통상임금의 280%에 더해 현금 340만 원까지 얹어 지급했습니다.
NH농협은행의 올해 성과급은 통상임금의 200%와 현금 300만 원으로 결정됐다. 지난해 통상임금의 400%와 200만 원을 지급했던 것과 비교하면 조건이 나빠졌습니다.
우리은행은 아직 성과급 규모를 확정 짓지 못했지만, 지난해 월 기본급의 292.6%에 달했던 성과급이 올해는 180% 정도로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임단협을 진행 중인 하나은행도 지난해 대비 성과급이 축소될 전망입니다. 지난해 하나은행은 350%의 성과급을 지급한 바 있습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희망퇴직금 규모도 줄었습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희망퇴직자에게 23~35개월치의 월평균 급여를 지급했지만, 올해는 23~31개월치 월평균 급여를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신청 대상은 1972년생까지입니다.
신한은행은 근속 15년 이상 Ma(부지점장·부부장) 이상 직원 중 1965년 이후 출생 직원, 근속 15년 이상 4급 이하 직원 중 1968년 출생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8월 진행한 희망퇴직 당시에는 월평균 임금 9~36개월분을 지급했는데, 올해는 월평균 임금의 7~31개월분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최소 수령액이 2개월 치, 최대 수령액이 5개월 치 줄어든 겁니다.
하나은행은 만 40세 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합니다. 특별퇴직금은 월평균 임금의 24~31개월분입니다. 작년에 비해 최대 수령액이 약 5개월 치 줄었습니다.
NH농협은행은 퇴직금을 일반 직원에게 20~39개월 치를 지급한 것과 비교해 이번에는 20개월 치로 줄였습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해 거시경제 환경 변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됐다"며 "상생 금융에 따른
전 사회적인 상생 요구에 따른 여론 눈치보기도 일부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줄어든 성과급도 대개 통상임금이나 기본급의 200%대에 달해 '돈잔치' 비판을 불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