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연합뉴스 |
소비자들의 물가 전망이 1년 8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7일) 발표한 '12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2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보다 0.2%포인트 하락한 3.2%로, 지난해 4월(3.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소비자들의 향후 1년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지난해 7월 4.7%까지 치솟았다 점차 하락해 올해 7월 3.3%, 10월 3.4% 등으로 횡보해왔습니다.
황희진 한은 통계조사팀장은 브리핑에서 "국제 유가 하락으로 인해 석유류 하락 폭이 확대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둔화한 것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농산물, 가공식품, 외식 서비스 등의 가격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공공요금 인상도 잠재 변수"라며 "앞으로 계속 이런 흐름이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 |
↑ 사진 = 연합뉴스 |
1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9.5로 전월보다 2.3p 올랐습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가운데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입니다.
100보다 높으면 장기평균(2003~2022년)과 비교해 소비 심리가 낙관적, 100을 밑돌면 비관적이라는 뜻입니다.
금리수준전망지수는 119에서 107로 크게
이 지수는 "6개월 후 금리가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고 대답한 사람이 하락을 예상한 사람보다 많으면 100을 웃돕니다.
지수가 급락한 것은 1개월 사이 금리 하락 전망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는 뜻입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18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습니다.
[정다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azeen9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