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가채무 (CG) / 사진=연합뉴스 |
9월 말 기준 국가채무가 약 1099조 원으로 한 달 전보다 소폭 줄었습니다.
나라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70조 원대로 올라서 정부의 연간 전망치를 웃돌았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9일) 이런 내용의 '월간 재정동향'을 발표했습니다.
올해 들어 9월까지 정부의 총수입은 1년 전 같은 시점보다 46조 9000억 원 감소한 436조 3000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국세수입이 266조 6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조 9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소득세(-14조 2000억 원)·법인세(-23조 8000억 원)·부가가치세(-6조 2000억 원) 등을 중심으로 세수가 줄었습니다.
세외수입은 20조 8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2조 8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기금 수입은 148조 8000억 원으로 6조 9000억 원 늘었습니다.
![]() |
↑ 사진=연합뉴스 |
9월까지 정부의 총지출은 467조 5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68조 5000억 원 감소했습니다.
코로나19 대응 사업 축소, 지방교부세·교부금 감소로 예산이 22조 3000억 원,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급 종료에 따라 기금 지출이 35조 7000억 원 각각 줄었습니다.
본예산 대비 총지출 진도율은 73.2%로 2014년 재정동향 발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세수 부족으로 지방교부세·교부금이 줄어든 데 따른 것이라고 기재부 관계자는 설명했습니다.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31조 2000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걷은 돈보다 지출로 쓴 돈이 이만큼 많다는 의미입니다.
![]() |
↑ 사진=연합뉴스 |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보장성 기금을 차감해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를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70조 6000억 원 적자였습니다.
전월보다 4조 6000억 원 악화해 정부가 제시한 올해 연간 전망치(58조 2000억 원 적자)를 웃돌았습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관리재정수지는 매달 세입세출 여건을 봐야 한다"며 "현재
9월 말 기준 국가채무(중앙정부 채무)는 1099조 6000억 원으로 국고채 상환 등에 따라 전월보다 10조 4000억 원 줄었습니다.
정부는 국고채 상환 일정에 따라 연말에는 전망치(1101조 7000억 원)로 수렴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정다진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azeen98@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