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연합뉴스 |
뉴욕증시는 국채금리의 상승세로 조정 압력이 커지며 하락했습니다.
17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90.91포인트(0.84%) 하락한 34,474.83으로 거래를 마쳤습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33.97포인트(0.77%) 떨어진 4,370.36으로,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57.70포인트(1.17%) 하락한 13,316.93으로 장을 마감했습니다.
다우지수는 6월 1일 이후 처음으로 5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마감했습니다. S&P500지수도 지난 15일 50일 이평선 아래에서 마감해 단기적으로 하락 추세를 보일 것을 시사했습니다.
3대 지수는 3거래일 연속 하락했습니다. 다우지수와 S&P500지수는 3거래일간 2% 이상 하락했고, 나스닥지수는 3% 이상 떨어졌습니다.
국채금리가 상승세를 이어가며 기술주를 중심으로 낙폭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경제 지표가 긍정적으로 나오면서 경기 연착륙에 대한 기대는 커졌습니다. 하지만 이는 국채금리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해 주가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전날 15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한 10년물 국채금리는 이날도 4.31%까지 올라섰습니다. 이는 200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인플레이션이 예상만큼 빠르게 내려오지 않고, 경제 지표가 긍정적인 모습을 유지하면서 고금리가 빠르게 내려오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이 집계하는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예상치는 전월 대비 0.8% 오르고, 전년 대비 3.8% 오를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이는 모두 7월의 CPI인 0.2%, 3.2%를 웃돌았습니다.
금리 선물시장에서 연준이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이상 추가 인상할 가능성은 36%가량으로 1주일 전의 25% 수준에서 상승했습니다.
전날 발표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은 인플레이션에 상당한 상승 위험이 있다는 점을 우려했었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날 발표된 미국의 주간 실업 지표는 전주보다 감소해 노동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하다는 점을 시사했습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12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보다 1만1천명 줄어든 23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 24만명을 밑도는 수준입니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이 발표한 제조업지수는 12를 기록해 전달의 -13.5에서 상승 반전했습니다. 해당 수치가 플러스대로 돌아선 것은 12개월 만입니다. 지수가 플러스이면 경기가 확장세로 돌아섰다는 의미입니다.
S&P500지수 내 에너지 관련주만이 오르고 10개 업종이 모두 하락했습니다. 임의소비재와 필수소비재, 기술, 산업 관련주가 약세를 주도했습니다.
컴퓨터 네트워킹업체 시스코 시스템즈는 예상치를 웃돈 분기 순이익에 3% 이상 올랐습니다.
CVS헬스 주가는 비영리 보험사 블루실드 오브 캘리포니아가 약제 급여 관리 업체인 CVS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다른 업체들과 협력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8% 이상 하락했습니다.
하와이 전기 유틸리티 기업인 하와이언 일렉트릭 인더스트리스의 주가는 하와이 산불에 따른 법적·재정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채무조정 전문 기업들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소식에 15% 이상 하락했습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경제 지표가 예상보다 강한 모습을 유지하면서 고금리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이는 기술주 등을 중심으로 시장에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앱투스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존 루크 타이너는 마켓워치에 국채금리 상승과 관련해 "예상보다 강한 경제 지표가 금리 상승을 돕고 있지만, 사실상 피치의 미국 신용등급 강등, 일본은행의 정책 변화,
그는 연준이 9월에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현재 시장이 예측하는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11포인트(6.62%) 오른 17.89를 기록했습니다.
[이승지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eungjilee@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