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생태계 복원에 대한 기대감도 커져
![]() |
↑ 강경성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왼쪽)이 12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한울원자력 3·4호기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을 심의·의결하는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를 주재하는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문재인 정부 시절, 탈원전 정책으로 사업이 백지화됐던 경북 울진군 북면에 들어설 신한울 3·4호기(1,400MW급 원전)에 대한 실시계획이 승인됐습니다.
정부는 오늘(12일) 정부세종청사 산업통상자원부 5층 회의실에서 제73회 전원개발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신한울원자력 3·4호기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안'을 심의·의결했습니다.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은 전원개발촉진법상의 제도로 대규모 전력공급원개발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각종 인·허가 사항을 일괄 승인받기 위한 계획을 뜻합니다.
회의를 주재한 강경성 차관은 "(윤석열 정부의) 핵심 국정과제인 신한울 3·4호기의 추진을 위해 관계부처가 긴밀히 협조해 신속한 실시계획 승인이 가능했다"며 "한수원은 원안위 건설허가를 철저히 준비하고 안전을 최우선으로 건설을 추진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의결로 원전건설 단계 중 20개 인허가 절차가 일괄적으로 처리됐고, 평균 실시계획 승인기관과 비교하면 19개월 가량 시간이 단축됐습니다.
정부가 실시계획 승인 고시를 오는 16일에 관보에 게재하면 효력이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은 실시계획 승인 이후 부지평탄화 작업을 할 예정입니다.
현재로선 사업의 9부 능선을 넘은 것으로 마지막 관문은 원자력안전법상의 건설허가인데, 내년 상반기에 허가가 나면 원자로 시설 착공이 시작됩니다.
특히 총 공사비는 11억 7천억 원으로 원전 생태계에 일감 공급과 건설경기,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원전 부지 공사와 별도로 원자로, 발전기 등 원전의
현재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 신한울 3·4호기는 각각 2032~2033년 준공될 예정으로 2030년대 이후 전기차 보급 확대, 첨단산업의 전력수요 증가 등에 대응한 중요한 전력 공급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될 전망입니다.
[안병욱 기자 ob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