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도덕 전 경영진 복귀 막겠다” vs “더 많은 주주가 현 경영진 퇴진 원해”
오는 31일 주총에서 결판
자동차 공조기와 자동화 기계 생산 전문업체인 DST가 경영권 분쟁에 휩싸였습니다. 업력이 27년에 달할뿐 아니라 연 매출 300억원의 80% 이상을 해외 수출로 달성하고 있는 강소기업이라는 점에서, 이번 경영권 분쟁을 보는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겁습니다.
↑ 자동차 공조 '강소기업'으로 꼽히는 DST가 주총을 앞두고 경영권 분쟁에 들어갔습니다. 사진은 DST 창원 본사. |
특히, DST는 과거 상장사였던 코리드를 매개로 주식시장에 입성했다 2020년 감사의견에서 한정을 받아 상장 폐지됐던 만큼 주주만 해도 5000명이 넘는 수준이어서 소액 주주를 우군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경쟁도 치열합니다.
현재 경영을 맡고 있는 한강홀딩스 측은 전 경영진이 횡령과 배임을 통해 200억원 넘는 손실을 회사에 끼쳤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주주들을 앞세워 경영권 탈취를 기획하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김재현 DST 회장은 “상장 폐지 원인이 된 한정 감사 의견을 계기로 내부 감사를 진행한 결과 김홍철 전 대표의 200억원 대 횡령 혐의를 적발하고 경찰에 고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 경찰은 수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 고발 사건을 지난해 7월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한 상태. 다만, 서울중앙지검의 인력 부족과 수사 검사들의 변경으로 사건은 아직 계류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회장은 또, 김 전 대표에 대해 주가 조작과 사기 혐의 등으로 서울남부지검에 고소장을 제출한 상태입니다. 김 회장은 “검찰 수사가 신속하게 마무리되면 전 경영진에 대한 사법 처리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전 경영진은 대형 로펌을 고용해 소송을 장기전으로 끌면서 한편으론 경영 복귀를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김 회장은 DST가 상장 폐지된 이유도 김 전 대표의 무리한 유상증자와 과도한 전환사채 발행을 꼽고 있습니다. 특히, 김 전 대표가 대산열병합 발전 사업을 진행하다 사업 파트너와 200억원 규모의 위약벌 소송에서 진 게 결정타가 됐다는 지적입니다. 김 회장은 “이런 현실을 정확히 주주들에게 정확하게 알려 김 전 대표의 경영 복귀 의도를 막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경영을 위탁했던 전 경영진 해임 이후 DST 실적도 좋아진 만큼 경영권을 지켜 재상장의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반면, 지난 2021년 회사에서 해임된 김 전 대표는 이번 경영권 분쟁에 자신은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고 있다는 입장입니다. 사내이사들의 3년 임기가 마무리된 만큼 새로운 경영진을 선임하겠다는 건 다른 주주들의 의견인데다 자신이 회사 경영에 오래 관여했던 만큼 자문을 하고 있는 정도라는 겁니다.
↑ DST 생산 설비. |
김 전 대표는 MBN과의 통화에서 “오히려 현재 DST 경영에 관여하고 있는 김 회장에 대해 배임과 횡령 혐의 고발로 수사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안다”며 “자신에 대한 고소, 고발 역시 아직 기소도 되지 않아 다툼이 진행 중인 사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김 전 대표는 또, 자신을 해임하는 원인이 됐던 대산열병합 발전 사업 위약금과 관련해서도 “사업부지에 대한 담보가 확보돼 있어 사업상의 손실 대부분은 환수 가능한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DST 경영권 향배를 좌우할 주주총회는 오는 31일 경남 창원시 DST 본사에서 열립니다. 한 때 대주주였다 지금은 단독으로 경영권을 지키기 어려운 상황에 놓인 한강홀딩스 측은 소액주주와의 연대를 바탕으로 주총 안건을 부결시켜 경영권을 지키겠다는 방침입니다. 김 회장은 “소액주주들에게 일일이 위임을 요청하는 편지를 보내 의결권 위임 또는 보유 주식에 대한 3자 매각을 권유하고 있다”며 “부도덕하고 무능력한 전 경영진의 복귀를 막겠다”고 밝혔습니다. 반면 김 전 대표는 “오히려 많은 주주들은 김 회장의 퇴진을 바라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한편, 자본시장 전문가들은 수사 당국의 기업관련 수사가 장기화되면서 자본시장에도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검경 수사권 조정에 따른 변화로 수사 지연 폐해가 현실화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익명을 요구한 법조계 관계자는 “
[정광재 기자 indianpao@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