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가 급한 상황이지만, 튀르키예 현지에선 약탈이 기승을 부리는 등 치안마저 위태로운 상황입니다.
독일 등 일부 국가는 구조대의 안전을 보장 받지 못한다며 철수를 결정했습니다.
정부의 부실 대응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면서 대통령 심판론까지 확산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장명훈 기자입니다.
【 기자 】
지진 피해가 가장 컸던 튀르키예 남부 하타이주.
도심 내 폐쇄된 상점가를 튀르키예 무장 군인들이 순찰합니다.
대지진으로 치안이 불안해 지자 일부 생존자들의 약탈 행위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딜메즈 / 상점 주인
- "제 상점이 여깁니다. 뒷문이 무너져서 상점이 약탈 당했습니다. 그들은 계산기에서 현금 7만 리라를 훔쳐 갔습니다."
약탈행위는 무너진 주택가와 식료품점 같은 상점, 차와 텐트 등 장소를 가리지 않고 계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구호물품 트럭 약탈과 총격전까지 벌어지자 독일과 오스트리아에 이어 이스라엘까지 구조대를 철수했습니다.
커지는 구조 공백에 규모가 작은 도시들의 피해는 더 커지고 있습니다.
진앙지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에 있는 지방 소도시 누르다으 주민들은 제대로 된 구조조차 받지 못했습니다.
▶ 인터뷰 : 무하메드 / 누르다으 주민
- "구조대는 이틀이 지나고서야 도착했습니다. 너무 늦어서 저희가 직접 손으로 잔해에 깔린 사람들을 꺼내야 했습니다."
극심한 혼란 속에 정부가 기본적인 역할조차 못 했다는 비판 여론은 더 거세지고 있습니다.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사고 책임을 물어 남부 건축업자 1백여 명을 체포했지만, 이마저도 비판 여론을 모면하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며 대통령 심판론까지 확산하고 있습니다.
MBN뉴스 장명훈입니다. [ jmh07@mbn.co.kr ]
영상편집 : 이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