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체감 경제고통지수'/사진=연합뉴스 |
물가 급등과 취업난이 맞물리며, 청년들의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전 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경제고통지수(실업률+물가상승률)를 활용해 국민이 느끼는 경제 어려움을 체감 경제고통지수로 산출한 결과, 올해 상반기 기준 청년층(15~29세)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25.1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고 14일(오늘) 밝혔습니다.
세대별 체감 경제고통지수는 연령대별 체감실업률과 물가상승률을 합한 수치입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청년층 다음으로 60대가 16.1로 그다음 높았고, 30대(14.4), 50대(13.3), 40대(12.5)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들어 급격히 상승한 물가로 인해 청년 체감 경제고통지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됩니다. 올해 상반기 청년층이 체감한 물가상승률은 5.2%로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비해 10배 수준에 달했습니다.
이처럼 청년층이 물가상승을 크게 체감한 원인으로는 이들의 소비지출 비중이 높은 음식·숙박(21.6%), 교통(12.0%), 식료품(8.5%)의 가격 상승이 지목됩니다. 전경련은 "청년층이 많이 소비하는 분야에 물가 상승이 집중되면서 취업 준비 중이거나 소득이 적은 이들이 생활비 상승 직격탄을 맞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더불어 취업시장이 얼어붙은 것도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에 한 몫을 더했습니다.
올해 상반기 청년 체감실업률은 19.9%로, 20%에 달했습니다. 코로나 전에 비해선 낮아졌으나 다른 연령대보다는 높았습니다. 이처럼 체감실업률이 낮은 데는 청년들의 선호 일자리 증가 속도와 대졸자 증가 속도의 불균형이 이유로 꼽힙니다.
2017년~2020년 배출된 대졸자는 223만 4천명인 데 반해 신규 고학력 일자리는 126만 4천개로 절반에 그쳤습니다. 노동시장 수급 불균형이 생기며 청년들이 갈 곳을 잃은 것입니다.
전경련 측은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도 동반 상승하며 청년들의 재무 건전성이 더 불안해질 것으로 내다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지속되는 청년 취업난에 급격한 물가상승까지 더해져 청년층이 체감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면서 "규제 혁파,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선 등으로 양질의 민간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