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채 역시 증가…직전 분기보다 3.2%p 증가폭 커져
![]() |
↑ 사진=연합뉴스 |
우리나라 기업들의 빚이 세계 35개국 주요국(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 가운데 두 번째로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가계 부채는 감소세로 돌아섰지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여전히 세계 1위를 차지했습니다.
어제(30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Global Debt)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준 세계 35개 나라 중 한국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102.2%였습니다. '가계 빚 세계 1위' 타이틀을 벗어나지 못한 겁니다. 우리나라에 이어 홍콩(94.5%), 태국(88.7%), 영국(83.2%), 미국(77.7%), 말레이시아(69.4%), 일본(64.0%), 중국(63.3%), 유로 지역(59.1%), 싱가포르(56.2%)가 10위 안에 들었습니다.
작년 2분기와 비교해보면 한국의 가계 부채 비율은 105.2%에서 102.2%로 3.0%p 낮아졌습니다. 코로나19 이후 우리나라 가계 부채가 급속도로 불었기 때문에 이번 금리 상승 여파가 감소 속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한편 GDP 대비 한국 비금융 기업의 부채 비율은 2분기 현재 117.9%로 네 번째로 높았습니다. 1분기에는 116.8%로 7위였는데, 불과 3개월 만에 세 계단 오른 겁니다.
그만큼 우리나라 기업 부채의 증가 속도는 빠릅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한국 기업 부채 비율은 111.7%에서 117.9%로 6.2% 올랐습니다. 또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증가 폭이기도 합니다.
IIF는 보고서에서 "싸게 돈을 빌릴 수 있는 시대가 끝나가면서, 많은 기업이 이미 빚을 갚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낮은 금리
정부 부채 역시 증가 속도는 상위권입니다. 1년 전과 비교해 정부 부채 증가 폭은 46.0%에서 47.8%로 1.8%p를 기록했고,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44.6%에서 47.8%로 3.2%p를 기록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