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SK이노베이션 울산컴플렉스(CLX) 전경. 전체 면적 약 250만평(826만㎡) 규모로 여의도 면적의 3배 크기다. SK이노베이션은 2027년까지 총 5조원을 투자해 울산 CLX의 탄소 중립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사진 제공 = SK이노베이션] |
11일 SK이노베이션은 2027년까지 SK 울산 CLX에 약 5조원을 투자해 친환경 사업장으로의 변신을 꾀하겠다고 밝혔다. 순환경제 구축에 1조7000억원, 친환경 제품 생산을 위한 설비 전환과 증설에 3조원 등을 투자한다. SK이노베이션은 올해 창립 60주년을 맞아 이같은 목표를 세우고 투자를 구체화했다.
우선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폐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SK이노베이션은 지난해 그린 사업의 일환으로 폐플라스틱을 다시 석유로 만드는 '세계 최대 도시 유전 기업'이라는 목표를 밝혔다. SK지오센트릭이 주축이 되는 이 사업은 2025년 하반기까지 SK 울산CLX 내 21만5000㎡ 부지에 폐플라스틱 재활용 클러스터를 조성, 연간 폐플라스틱 약 25만t을 재활용할 수 있는 시설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 시설은 고순도 폴리프로필렌(PP) 추출, 해중합, 열분해 등 3대 화학적 재활용 공정이 모두 가능한 세계 최초의 공장으로 탄생한다.
장기적으로는 탈탄소 기조에 따른 연료 수요 구조 변화 대응에도 나선다. 구체적으로 향후 친환경 항공유 수요 증가에 대비해 친환경 항공유 생산 공정 신설을 검토하고 있다.
실질적인 탄소 감축을 위한 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기술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SK 울산CLX는 최근 동력 보일러 11기 중 9기의 연료를 벙커C에서 LNG로 교체하면서 지난해까지 누적 14만4000t의 탄소를 줄이는 효과를 거뒀다. 남아있는 2기는 2023년까지 교체할 예정이며, 연 4만톤의 추가 탄소 감축이 예상된다.
SK에너지는 지난 20년간 SK 울산 CLX에서 탄소를 포집해 액체 탄산용 원료로도 공급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탄소 포집·활용(CCS) 기술 관련 국내외 국책과제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부터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동해가스전에 저장하는 CCS 실증모델개발 정부 과제에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실증사업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유재영 울산CLX
[이윤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