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손해보험업계가 자동차 사고를 낸 가해자의 책임을 지금보다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습니다.
이외에도 최근 급증하고 있는 손실을 만회하기 위한 자구책을 내놓았지만, 실효성이 부족해 보험료 인상에 대한 가능성은 여전히 큽니다.
보도에 최재영 기자입니다.
【 기자 】
교통사고가 나면 자신의 과실과는 상관없이 상대방의 치료비를 모두 부담해야 합니다.
사고에 대한 책임이 10%에 불과한 피해자라도 90%의 책임이 있는 가해자의 치료비를 다 부담해야 하는 겁니다.
치료비에 대한 부담이 없다 보니 과도한 병원치료나 입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가까운 일본과 비교했을 때 교통사고로 인한 입원율은 평균 9배나 높았습니다.
손해보험업계가 이러한 제도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나섰습니다.
과실에 따라 치료비를 부담시키켜야 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멉니다.
자동차 손해배상 보장법 시행령을 바꿔야 하는 데 손보협회는 아직 가능성 검토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금융당국도 아직 보험업계와 어떤 논의나 협의를 한 적이 없다며 당장 시행은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이외에도 들어오는 보험료보다 나가는 보험금이 많아 어려움에 처한 보험업계는 차량파손 정도에 따른 보상기준을 마련하거나 수리
하지만, 실효성이 낮아 당장 시행이 어려워 지금의 손실을 보전하기 어려운 만큼 보험업계가 보험료 인상을 강행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최재영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