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ESG(환경·책임·투명경영)위원회가 ESG 전략 수립과 지배구조 개선 관련 안건을 중점적으로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20일 'ESG위원회 안건 분석 및 시사점' 을 발표했다. 보고서는 30대 그룹 중 ESG위원회를 설치하고 관련 내용을 공시한 15개 그룹의 ESG 활동을 분석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6월까지 15개 그룹의 48개 ESG위원회는 257번의 회의를 열었다. 위원회 당 평균 5.4회다. 48개 위원회 위원수는 266명으로 위원회당 평균 5.5명이 참여했으며, 참석률은 98.1%로 나타났다.
총 안건 수는 654개로, 의결사항은 278개(가결 276건, 부결 2건), 371개는 보고·심의·검토 대상이었다. 안건 미공개 5건이었다.
분야별로는 △ESG 관리 안건 34.9% △지배구조 안건 32.3% △일반 경영 및 투자 17.4%, △사회적책임 10.2% △환경 4.4% 순으로 집게됐다.
ESG 관리 안건 중 ESG 경영에 대한 방향을 잡기 위한 전략 및 계획 수립 비중이 39.5%로 가장 높았다. 이어 위원장 선임 등 위원회 운영(23.7%), ESG 추진 경과(15.8%)가 뒤를 이었다. ESG 관련 공시 및 각종 보고서 발간에 대한 논의는 11.4%였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등의 ESG 평가 관련 15건의 논의가 있었다. ESG 등급 관리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의미다.
지배구조 관련 안건에서는 '내부거래, 특수관계자 등과의 거래에 대한 승인'을 논의한 비율이 64.9%로 나타났다.
이어 기업윤리(10.4%), 공정거래(8.1%), 주주가치 제고(6.6%) 등의 순으로 논의했다
환경에서는 탄소 전략(58.6%)과 친환경사업(41.4%), 사회에서는 사회공헌(68.7%), 안전·보건(17.9%), 인권(6.0%) 등이 논의됐다. 투자·경영 안건 중에서는 투자·출자(36.8%), 기타 사업(18.4%), 경영계획(16.
김준호 전경련 ESG 팀장은 "기업들은 지난 1년 반 동안 ESG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주력했다"며 "정부가 ESG 관련 기준과 정책을 수립할 때 기업들이 관심 갖고 있는 ESG 분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승환 재계·ESG 전문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