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서울 여의도 파크원에서 열린 LG에너지솔루션-혼다의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 체결식에서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CEO 부회장(왼쪽)과 미베 토시히로 혼다 CEO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출처 = LG에너지솔루션] |
양사는 29일 LG에너지솔루션 본사인 서울 여의도 파크원에서 권영수 LG에너지솔루션 CEO 부회장, 미베 토시히로 혼다 CEO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 체결식을 갖고, 총 5.1조원을 투자해 미국에 4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능력을 갖추기로 했다.
공장 부지는 검토 중이며 내년 상반기에 착공을 시작해 2025년말부터 파우치 배터리셀과 모듈을 양산할 계획이다. 생산된 배터리는 혼다와 혼다의 프리미엄 브랜드인 '아큐라' 전기차 모델에도 공급된다.
미베 혼다 CEO는 "혼다는 2050년까지 모든 제품과 기업활동에서 탄소 중립을 실현할 것"이라며 "고객과 가까운 곳에서 제품을 만든다는 신념으로 글로벌 배터리 선도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과 전기차 배터리 생산기지를 구축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권 부회장은 "높은 브랜드 신뢰도 구축한 혼다와의 이번 합작은 북미 전기차 시장 지배력을 더욱 강화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고객과 긴밀한 협력 통해 전동화에 앞장서 고객이 신뢰하고 사랑하는 세계 최고의 배터리 기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으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미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은 2021년 64GWh에서 2023년 143GWh, 2025년 453GWh로 가파른 성장세가 예상된다. 연 평균 성장률만 63%에 달한다.
이에 LG에너지솔루션은 20조원 이상을 투자하며 북미 배터리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완성차 업체 제너럴모터스(GM)과 3개, 스텔란티스와 1개의 합작공장 건설을 비롯해 미국 미시간 단독공장 증설을 진행 중에 있으며 애리조나 원통형 공장 건설도 검토 중이다. 여기에 혼다와의 합작공장까지 추가하며 북미 시장에서의 존재감을 더욱 키우게 됐다.
한편 혼다의 북미 자동차 시장 점유율 순위는 6위로,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전기차 200만 대 판매를 위해 총 48조 원을 투자하는 등 공격적으로 전동화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최근 빠르게 성장하는 북미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현지 전기차 생산 확대 및 배터리의 적시 공급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미국 내에 전기차 핵심부품인 배터리 합작공장을 함께 건설하기로 했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이번 합작법인 설립은 기술을 중시하는 일본 완성차 업체에 처음으로 LG에너지솔
[김우현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