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홈플러스가 1마리 6990원, 2마리 9900원에 판매 중인 '당당치킨' 모습. [사진 제공 = 홈플러스] |
11일 홈플러스에 따르면 홈플러스가 지난 6월 30일부터 판매 중인 '당당치킨'의 누적 판매량이 전날까지 32만마리 이상을 기록했다. 1분마다 5마리씩 판매된 셈인데 후라이드 기준 1마리 6990원, 2마리 9900원 등 프랜차이즈 제품의 30% 수준 가격으로 주목받은 까닭이다.
지난달 16일에는 초복 맞이 행사로 5000마리 한정 4900원 행사가 이뤄지기도 했다. 당시 행사가 시작되자 1시간 만에 준비된 물량이 모두 동났고, 최근까지도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제품 판매가 시작되는 시간과 후기, '오픈런 성공법' 등이 공유되고 있다.
당당치킨이 인기를 끌면서 다른 대형마트들도 저가 치킨 마케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마트의 경우 지난달 초 9980원의 '5분 치킨'을 선보였다. 롯데마트도 치킨류 대표 상품인 'New 한통가아아득 치킨'을 오는 11일부터 일주일간 8800원(행사카드 사용시)에 판매하기로 했다.
![]() |
↑ 서울 마포구의 한 치킨집 앞 메뉴판.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BHC와 제너시스BBQ, 교촌에프앤비 등 치킨 3사는 원부자재 가격 상승을 이유로 지난해부터 소비자가격을 인상해왔는데 3사가 모두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낸 것. 이 때문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원가 부담을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했다는 비판이 불거졌다.
여기에 최근 한상인 홈플러스 메뉴 개발총괄이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치킨을 팔아도) 안 남는다는 말이 이해가 안 된다. 6990원에 팔아도 남는다"고 한 발언이 주요 프랜차이즈에 대한 반감을 부추겼다.
당시 홈플러스의 설명은 재료를 대량 구매한 뒤 치킨을 직접 튀기며 포장 판매하는 방식으로 '박리다매'하며 손해를 보지 않는다는 취지였다. 반면 프랜차이즈 점주들은 이와 관련, 식용유 가격과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불가능한 가격이라고 맞서고 있다.
한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는 "본사에서 가맹점에 공급하는 각종 원부자재 가격이 오른데다 가게 임대료와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턱도 없다"며 "개인 점주가 운영하는 가게는 대형마트와 달리 부수적인 비용 부담이 더 많다"고 토로했다.
![]() |
↑ 지난달 28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 모습.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한 업계 관계자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고 외출이 늘어나면서 이미 배달 수요가 줄어드는 분위기"라며 "유통구조를 아는 업계 종사자로서 치킨 3사의 상황은 인지하고 있으나, 지금대로라면 매출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내다봤다.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4월 배달앱 3사(배달의민족·요기요·쿠팡이츠)의 월간 이용자 수는 3321만6220명을 기록하며 전월보다 5.96% 감소했다. 이후 5월에도 전월 대비 3.38% 줄었고, 6월에도 전월보다 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현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