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21년 간암 유형별 진료인원 수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간암 진료현황을 21일 발표했다. 지난해 간세포암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총 6만4525명이으로 2017년의 5만9040명보다 9.3% 늘었다. 연평균 증가율은 2.2%다.
지난해 기준 남성 환자가 전체의 77%(4만9677명)를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남녀 모두 60대 환자가 가장 많았다. 60대가 전체의 36.7%(2만3710명)를 차지했고 이어 70대(26.3%), 50대(19.9%)의 순이었다. 남성 환자 중 60대 비율은 38.3%로 집계됐다. 간세포암 환자의 1인당 진료비는 2017년 791만1000원에서 2021년 857만4000원으로 8.4% 증가했다.
최종원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간세포암 초기에는 식욕부진, 체중감소, 복통, 소화장애, 복부 팽만감 등의 증상을 주로 호소하기 때문에 다른 질환과 감별하기 어렵다"며 "뚜렷한 증상이 나타났다면 대부분 이미 병기가 진행된 경우“라고 설명했다. 간세포암이 진행되면 간이 비대해지면서 복부에서 만져지기도 하고, 간 기능이 나빠지면서 복수가 차거나 황달이 생길 수 있다. 간 표면에 위치해 있는 간세포암종에서 대량 출혈이 일어나 배가 갑자기 심하게 불러오면서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쇼크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 |
↑ 2021년 간세포암 진료인원 <자료=국민건강보험공단> |
[유주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